2025년 7월 28일 월요일

[1883년] 내셔널리그(NL) 시즌 : 보스턴 비니이터스의 우승

[1883] 내셔널리그(NL) 시즌 : 보스턴 비니이터스의 우승

 

1. 시즌 개요 : 여덟 번째 시즌의 새로운 출발

 
1883년은 내셔널리그(National League, 이하 NL)가 여덟 번째 시즌을 맞은 해로, 리그 역사에서 또 하나의 중요한 전환점이 된 해였다. 이번 시즌은 51일에 개막하여 929일까지 진행되었으며, 8개 팀이 참가해 팀당 98경기를 치렀다.
 
이전 시즌까지 NL에서 활약했던 트로이 트로잔스(Troy Trojans)와 우스터 우스터스(Worcester Worcesters)는 재정 문제와 관중 동원 실패 등의 이유로 해체되었다. 그 자리를 대신하여, 대도시 시장을 겨냥한 새로운 팀이 등장했다. 바로 뉴욕 고담스(New York Gothams, 오늘날의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필라델피아 퀘이커스(Philadelphia Quakers, 현 필라델피아 필리스). 이 두 팀의 합류는 NL이 더 큰 시장으로 확장하고자 하는 전략적 선택이었으며, 훗날 메이저리그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친 결정으로 평가된다.
 

2. 리그 운영과 경기 일정의 변화

 
1883년 시즌부터 NL은 새로운 경기 일정을 도입했다. 각 팀은 리그 내 다른 7개 팀과 각각 14경기씩 치르며, 98경기를 소화했다. 이는 이전 시즌의 84경기 체제에서 크게 증가한 것으로, 야구의 인기가 점차 높아짐에 따라 관중과 수익을 고려한 조치였다.
 
리그 내 팀들은 정규 시즌 동안 누적된 승률을 기준으로 순위를 매겼으며, 별도의 포스트시즌이나 챔피언 결정전은 존재하지 않았다. 이는 당시의 운영 방식으로, 리그 우승은 오로지 정규 시즌 성적에 의해 결정되었다.
 
시즌 개막일은 51일이었으며, 8개 팀 모두 동시에 경기를 시작했다. 마지막 경기일은 929일로, 마찬가지로 8개 팀이 모두 경기에 나섰다. 이 일정은 리그의 균형성과 경기의 공정성을 보장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3. 1883년 시즌 팀 성적

 
1883년 시즌에서 가장 돋보인 팀은 보스턴 비니이터스(Boston Beaneaters)였다. 비니이터스는 시즌 내내 꾸준한 경기력을 보여주며 리그 최고의 승률을 기록했고, 결국 NL 우승을 차지했다.
 
보스턴은 특히 홈 경기에서 강세를 보였으며, 뛰어난 투수진과 안정된 수비, 그리고 강한 타선을 바탕으로 리그를 지배했다. 이들은 시즌 막판까지 경쟁팀들의 추격을 받았지만, 흔들림 없이 우승을 확정지었다.

순위승률게임차홈경기원정경기
1보스턴 비니이터스
(Boston Beaneaters)
63350.64341‍–‍822‍–‍27
2시카고 화이트스타킹스
(Chicago White Stockings)
59390.602436‍–‍1323‍–‍26
3프로비던스 그레이스
(Providence Grays)
58400.592534‍–‍1524‍–‍25
4클리블랜드 블루스
(Cleveland Blues)
55420.56731‍–‍1824‍–‍24
5버팔로 바이슨스
(Buffalo Bisons)
49450.5211236‍–‍1313‍–‍32
6뉴욕 고담스
(New York Gothams)
46500.4791628‍–‍1918‍–‍31
7티트로이트 울버린스
(Detroit Wolverines)
40580.4082323‍–‍2617‍–‍32
8필라델피아 퀘이커스
(Philadelphia Quakers)
17810.173469‍–‍408‍–‍41
 
다른 팀들 또한 각자의 강점을 보이며 경쟁했지만, 보스턴의 조직력과 기량에는 미치지 못했다. 2위와 3위 팀들은 끝까지 치열한 순위 경쟁을 벌였으며, 중하위권 팀들도 새로운 선수 발굴과 전술 실험 등으로 리그 발전에 기여했다.
 

4. 1883년 시즌 선수 성적

 

1) 타격 부문

타격 부문에서는 댄 브라우더스(Dan Brouthers, 버팔로)가 가장 뛰어난 성적을 기록했다. 그는 타율 0.374OPS 0.969를 기록하며 리그를 주도했고, 159안타와 97타점으로도 탁월한 활약을 펼쳤다. 홈런 부문에서는 뉴욕 고섬스의 벅 어윙(Buck Ewing)10개로 가장 많은 홈런을 기록했다. 득점은 보스턴의 조 호눙(Joe Hornung)107점을 올리며 팀 공격에 크게 기여했다.
 

2) 투수 부문

투수 부문에서는 찰스 래드번(Charles Radbourn, 프로비던스)48승으로 가장 많은 승리를 거두었고, 존 콜먼(John Coleman, 필라델피아 퀘이커스)48패를 기록해 어려운 시즌을 보냈다. 평균자책점 부문에서는 클리블랜드의 짐 맥코믹(Jim McCormick)1.84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탈삼진 부문에서는 보스턴의 짐 휘트니(Jim Whitney)345개의 삼진을 잡아내며 강력한 구위를 보여주었다. 이닝 소화는 버팔로의 퍼드 갈빈(Pud Galvin)656.1이닝으로 리그 최고를 기록했다. 세이브 부문에서는 디트로이트의 조지 와이드만(George Weidman)과 보스턴의 짐 휘트니(Jim Whitney)가 각각 2세이브로 공동 선두를 차지했다. WHIP에서는 찰스 래드번(Charles Radbourn)0.979로 가장 뛰어난 출루 억제 능력을 보였다.
 

5. 주요 규칙 변경과 제도 개편

 
1883년 시즌은 경기 규칙과 제도 측면에서도 중요한 변화를 겪은 해였다. 가장 큰 변화는 챔피언 결정 방식이 승률 기준으로 확정되었다는 점이다. 이전까지는 승리 수 자체가 기준이 되기도 했지만, 이제부터는 경기 수 차이를 감안한 승률이 우승의 결정 기준이 되었다.
 
또한, 투구 규칙에도 변화가 생겼다. 기존에는 언더핸드 또는 사이드암 투구만 허용되었으나, 이제는 오버핸드(Overhand) 투구를 제외한 모든 형태의 투구가 허용되었다. 하지만 오버핸드 투구를 시도하거나, 과도하게 팔을 높이 드는 형태의 투구는 보크(balk)’로 간주되었고, 이는 주자와 타자에게 각각 진루를 허용하는 페널티로 적용되었다. 이 규정은 투수들의 행동을 규제하고 경기 흐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였다.
 
또 하나의 중요한 변화는 파울 바운드 캐치(foul bound catch)’의 폐지였다. 이전에는 파울이 1바운드 이후 포수나 야수에게 잡혀도 아웃으로 인정되었으나, 1883년부터는 이를 폐지해 직접 공중에서 잡지 않으면 아웃이 되지 않도록 변경되었다. 이는 야수의 수비 능력을 보다 강조하고, 타자에게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었다.
 

6. 선수 계약과 리그 협약 : 트라이파타이트 협정

 
1883년은 단지 경기 운영뿐 아니라, 리그 운영의 법적ㆍ제도적 체계가 강화된 해이기도 하다. NL은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AA), 노스웨스턴 리그(Northwestern League)와 함께 트라이파타이트 협정(Tripartite Agreement, 또는 국가 협정)에 서명했다.
 
이 협정의 핵심 내용은 서로 간의 선수 계약을 존중하고 무단 이적을 금지하는 조항이었다. 또한 팀이 보유할 수 있는 보류 선수(reserve list) 수를 기존 6명에서 11명으로 확대함으로써, 각 팀은 주요 선수를 보다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이 협정은 향후 메이저리그 베이스볼이 조직화되고, 단일한 선수 이적 규정을 갖추게 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MLB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기틀로 작용했다.
 

7. 시즌의 역사적 의미와 유산

 
1883NL 시즌은 단순한 한 해의 리그가 아닌, 현대 메이저리그 구조의 전신이 되는 역사적 시즌으로 평가된다. 팀 수의 균형, 일정의 확대, 규칙 개정, 선수 관리 체계 확립 등은 모두 그 이후 MLB가 체계적으로 발전하는 데 초석이 되었다.
 
보스턴 비니이터스의 우승은 뛰어난 전력의 산물이었으며, 리그 전체가 치열하고도 공정한 경쟁을 펼친 한 해였다. 또한 뉴욕과 필라델피아 같은 대도시 팀의 등장으로 리그의 흥행성과 상업성도 크게 증대되었다.
 
1883년 시즌은 규칙의 변화뿐만 아니라, , 구단, 선수 모두가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시즌으로, 오늘날 MLB 팬이라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역사적 순간이다.

8.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이 글은 Wikipedia 1883 Major League Baseball season 문서와 BaseballReference, SABR 등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Ortiz vs. Shamrock 3: The Final Chapter] 라이벌의 마지막 장, 케이블 시청률을 뒤흔든 밤

[Ortiz vs. Shamrock 3: The Final Chapter] 라이벌의 마지막 장 , 케이블 시청률을 뒤흔든 밤   1. 2006 년 10 월 10 일 : Ortiz vs. Shamrock 3: The Final Chapter   Or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