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EFA 유로 1996] 제10회(잉글랜드) : 독일(3회)
‘UEFA 유로 1996’은 1996년 6월 8일부터 6월 30일까지 잉글랜드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대회부터 참가국이 기존 8개국에서 16개국으로 확대되었으며, 승리 시 승점이 기존 2점에서 3점으로 변경되었다. 승점이 같을 경우 승자승 우선 규칙을 적용하였다.
[본선 참가팀]
- 1조 : 1위(루마니아, 본선진출), 2위(프랑스, 본선진출) ☞ 바로가기
- 2조 : 1위(스페인, 본선진출), 2위(덴마크, 본선진출) ☞ 바로가기
- 3조 : 1위(스위스, 본선진출), 2위(터키, 본선진출) ☞ 바로가기
- 4조 : 1위(크로아티아, 본선진출), 2위(이탈리아, 본선진출) ☞ 바로가기
- 5조 : 1위(체코, 본선진출), 2위(네덜란드, 플레이오프) ☞ 바로가기
- 6조 : 1위(포르투갈, 본선진출), 2위(아일랜드, 플레이오프) ☞ 바로가기
- 7조 : 1위(독일, 본선진출), 2위(불가리아, 본선진출) ☞ 바로가기
- 8조 : 1위(러시아, 본선진출), 2위(스코틀랜드, 본선진출) ☞ 바로가기
- 플레이오프 : 네덜란드(본선진출) ☞ 바로가기
[대회 개요]
기간 : 1996년 6월 8일 ~ 6월 30일우승 : 독일(3회)준우승 : 체코경기수 : 31경기득점수 : 64골(경기당 평균 2.06골)득점왕 : 앨런 시어러(Alan Shearer, 잉글랜드) - 6골최우수 선수 : 마티아스 자머(Matthias Sammer, 독일)
1. 조별 리그
1) A조 : 잉글랜드, 네덜란드, 스코틀랜드, 스위스
네덜란드와 스코틀랜드는 승점과 전적이 같아 다득점에 따라 네덜란드가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였다.
【1996년 6월 8일】 잉글랜드 1-1 스위스 [웸블리 스타디움, 런던]
- 23분: 시어러(Shearer, 잉글랜드)
- 83분: 튀르키이을마즈(Türkyilmaz, 스위스, 페널티)
【1996년 6월 10일】 네덜란드 0-0 스코틀랜드 [빌라 파크, 버밍엄]【1996년 6월 13일】 스위스 0-2 네덜란드 [빌라 파크, 버밍엄]
- 66분: 크루이프(Cruyff, 네덜란드)
- 79분: 베르캄프(Bergkamp, 네덜란드)
【1996년 6월 15일】 스코틀랜드 0-2 잉글랜드 [웸블리 스타디움, 런던]
- 53분: 시어러(Shearer, 잉글랜드)
- 79분: 개스코인(Gascoigne, 잉글랜드)
【1996년 6월 18일】 스코틀랜드 1-0 스위스 [빌라 파크, 버밍엄]
- 36분: 매코이스트(McCoist, 스코틀랜드)
【1996년 6월 18일】 네덜란드 1-4 잉글랜드 [웸블리 스타디움, 런던]
- 23분: 시어러(Shearer, 잉글랜드, 페널티)
- 51분: 셰링엄(Sheringham, 잉글랜드)
- 57분: 시어러(Shearer, 잉글랜드)
- 62분: 셰링엄(Sheringham, 잉글랜드)
- 78분: 클라위베르트(Kluivert, 네덜란드)
2) B조 : 프랑스, 스페인, 불가리아, 루마니아
【1996년 6월 9일】 스페인 1-1 불가리아 [엘런드 로드, 리즈]
- 65분: 스토이치코프(Stoichkov, 불가리아, 페널티)
- 74분: 알폰소(Alfonso, 스페인)
【1996년 6월 10일】 루마니아 0-1 프랑스 [세인트 제임스 파크, 뉴캐슬]
- 25분: 뒤가리(Dugarry, 프랑스)
【1996년 6월 13일】 불가리아 1-0 루마니아 [세인트 제임스 파크, 뉴캐슬]
- 3분: 스토이치코프(Stoichkov, 불가리아)
【1996년 6월 15일】 프랑스 1-1 스페인 [엘런드 로드, 리즈]
- 48분: 조르카예프(Djorkaeff, 프랑스)
- 85분: 카미네로(Caminero, 스페인)
【1996년 6월 18일】 프랑스 3-1 불가리아 [세인트 제임스 파크, 뉴캐슬]
- 21분: 블랑(Blanc, 프랑스)
- 63분: 페네프(Penev, 불가리아, 자책골)
- 69분: 스토이치코프(Stoichkov, 불가리아)
- 90분: 로코(Loko, 프랑스)
【1996년 6월 18일】 루마니아 1-2 스페인 [엘런드 로드, 리즈]
- 11분: 만하린(Manjarín, 스페인)
- 29분: 러두치오유(Răducioiu, 루마니아)
- 84분: 아모르(Amor, 스페인)
3) C조 : 독일, 체코, 이탈리아, 러시아
체코와 이탈리아의 승점이 같지만, 체코가 이탈리아를 상대로 승리를 쟁취했기 때문에 승자승 원칙에 따라 골득실과는 상관없이 체코가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게 되었다.
【1996년 6월 9일】 독일 2-0 체코 [올드 트래퍼드, 맨체스터]
- 26분: 지게(Ziege, 독일)
- 32분: 묄러(Möller, 독일)
【1996년 6월 11일】 이탈리아 2-1 러시아 [안필드, 리버풀]
- 5분: 카시라기(Casiraghi, 이탈리아)
- 21분: 침발라르(Tsymbalar, 러시아)
- 52분: 카시라기(Casiraghi, 이탈리아)
【1996년 6월 14일】 체코 2-1 이탈리아 [안필드, 리버풀]
- 5분: 네드베드(Nedvěd, 체코)
- 18분: 키에사(Chiesa, 이탈리아)
- 35분: 베이불(Bejbl, 체코)
【1996년 6월 16일】 러시아 0-3 독일 [올드 트래퍼드, 맨체스터]
- 56분: 잠머(Sammer, 독일)
- 77분: 클린스만(Klinsmann, 독일)
- 90분: 클린스만(Klinsmann, 독일)
【1996년 6월 19일】 러시아 3-3 체코 [안필드, 리버풀]
- 5분: 수초파레크(Suchopárek, 체코)
- 19분: 쿠카(Kuka, 체코)
- 49분: 모스토보이(Mostovoi, 러시아)
- 54분: 테트라제(Tetradze, 러시아)
- 85분: 베스차스트니흐(Beschastnykh, 러시아)
- 88분: 스미체르(Šmicer, 체코)
【1996년 6월 19일】 이탈리아 0-0 독일 [올드 트래퍼드, 맨체스터]
4) D조 : 포르투갈, 크로아티아, 덴마크, 터키(튀르키예)
【1996년 6월 9일】 덴마크 1-1 포르투갈 [힐스버러, 셰필드]
- 22분: B. 라우드루프(B. Laudrup, 덴마크)
- 53분: 사 핀투(Sá Pinto, 포르투갈)
【1996년 6월 11일】 터키 0-1 크로아티아 [시티 그라운드, 노팅엄]
- 86분: 블라오비치(Vlaović, 크로아티아)
【1996년 6월 14일】 포르투갈 1-0 터키 [시티 그라운드, 노팅엄]
- 66분: 코투(Couto, 포르투갈)
【1996년 6월 16일】 크로아티아 3-0 덴마크 [힐스버러, 셰필드]
- 54분: 슈케르(Šuker, 크로아티아, 페널티)
- 81분: 보반(Boban, 크로아티아)
- 90분: 슈케르(Šuker, 크로아티아)
【1996년 6월 19일】 크로아티아 0-3 포르투갈 [시티 그라운드, 노팅엄]
- 4분: 피구(Figo, 포르투갈)
- 33분: 주앙 핀투(João Pinto, 포르투갈)
- 82분: 도밍구스(Domingos, 포르투갈)
【1996년 6월 19일】 터키 0-3 덴마크 [힐스버러, 셰필드]
- 50분: B. 라우드루프(B. Laudrup, 덴마크)
- 69분: A. 닐센(A. Nielsen, 덴마크)
- 84분: B. 라우드루프(B. Laudrup, 덴마크)
2. 8강전
1) 스페인 vs 잉글랜드
【1996년 6월 22일】 스페인 0-0 잉글랜드 (연장전) [웸블리 스타디움, 런던]
[승부차기] 스페인 2-4 잉글랜드
- 스페인 : 이에로(실축)
- 잉글랜드 : 시어러(성공)
- 스페인 : 아모르(성공)
- 잉글랜드 : 플랫(성공)
- 스페인 : 벨수에(성공)
- 잉글랜드 : 피어스(성공)
- 스페인 : 나달(실축)
- 잉글랜드 : 개스코인(성공)
2) 프랑스 vs 네덜란드
【1996년 6월 22일】 프랑스 0-0 네덜란드 (연장전) [안필드, 리버풀][승부차기] 프랑스 5-4 네덜란드
- 프랑스 : 지단(성공)
- 네덜란드 : 더 콕(성공)
- 프랑스 : 조르카예프(성공)
- 네덜란드 : 더 부르(성공)
- 프랑스 : 리자라쥐(성공)
- 네덜란드 : 클라위베르트(성공)
- 프랑스 : 게랭(성공)
- 네덜란드 : 시도르프(실축)
- 프랑스 : 블랑(성공)
- 네덜란드 : 블라인드(성공)
3) 독일 vs 크로아티아
【1996년 6월 23일】 독일 2-1 크로아티아 [올드 트래퍼드, 맨체스터]
- 20분: 클린스만(Klinsmann, 독일, 페널티)
- 51분: 슈케르(Šuker, 크로아티아)
- 59분: 잠머(Sammer, 독일)
4) 체코 vs 포르투갈
【1996년 6월 23일】 체코 1-0 포르투갈 [빌라 파크, 버밍엄]
- 53분: 포보르스키(Poborský, 체코)
3. 준결승전
1) 프랑스 vs 체코
【1996년 6월 26일】 프랑스 0-0 체코 (연장전) [올드 트래퍼드, 맨체스터][승부차기] 프랑스 5-6 체코
- 프랑스 : 지단(성공)
- 체코 : 쿠비크(성공)
- 프랑스 : 조르카예프(성공)
- 체코 : 네드베드(성공)
- 프랑스 : 리자라쥐(성공)
- 체코 : 베르거(성공)
- 프랑스 : 게랭(성공)
- 체코 : 포보르스키(성공)
- 프랑스 : 블랑(성공)
- 체코 : 라다(성공)
- 프랑스 : 페드로스(실축)
- 체코 : 카들레츠(성공)
2) 독일 vs 잉글랜드
【1996년 6월 26일】 독일 1-1 잉글랜드 (연장전) [웸블리 스타디움, 런던]
- 3분 : 앨런 시어러(Alan Shearer, 잉글랜드)
- 16분 : 슈테판 쿤츠 (Stefan Kuntz, 독일)
[승부차기] 독일 6-5 잉글랜드
- 독일 : 해슬러(성공)
- 잉글랜드 : 시어러(성공)
- 독일 : 슈트룬츠(성공)
- 잉글랜드 : 플랫(성공)
- 독일 : 로이터(성공)
- 잉글랜드 : 피어스(성공)
- 독일 : 지게(성공)
- 잉글랜드 : 개스코인(성공)
- 독일 : 쿤츠(성공)
- 잉글랜드 : 셰링엄(성공)
- 독일 : 묄러(성공)
- 잉글랜드 : 사우스게이트(실축)
4. 결승전 : 독일 vs 체코
【1996년 6월 30일】 체코 1-2 독일 (연장전/골든골) [웸블리 스타디움, 런던]
- 59분: 베르거(Berger, 체코, 페널티)
- 73분: 비어호프(Bierhoff, 독일)
- 95분: 비어호프(Bierhoff, 독일, 골든골)
5. 득점자 명단
- 5골
- 앨런 시어러 (Alan Shearer, 잉글랜드)
- 3골
-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 (Hristo Stoichkov, 불가리아)
- 다보르 슈케르 (Davor Šuker, 크로아티아)
- 브리안 라우드루프 (Brian Laudrup, 덴마크)
- 위르겐 클린스만 (Jürgen Klinsmann, 독일)
- 2골
- 테디 셰링엄 (Teddy Sheringham, 잉글랜드)
- 올리버 비어호프 (Oliver Bierhoff, 독일)
- 마티아스 자머 (Matthias Sammer, 독일)
- 피에를루이지 카시라기 (Pierluigi Casiraghi, 이탈리아)
- 1골
- 즈보니미르 보반 (Zvonimir Boban, 크로아티아)
- 고란 블라오비치 (Goran Vlaović, 크로아티아)
- 라데크 베이블 (Radek Bejbl, 체코)
- 파트리크 베르거 (Patrik Berger, 체코)
- 파벨 쿠카 (Pavel Kuka, 체코)
- 파벨 네드베드 (Pavel Nedvěd, 체코)
- 카렐 포보르스키 (Karel Poborský, 체코)
- 블라디미르 슈미체르 (Vladimír Šmicer, 체코)
- 얀 수코파레크 (Jan Suchopárek, 체코)
- 알란 닐센 (Allan Nielsen, 덴마크)
- 폴 개스코인 (Paul Gascoigne, 잉글랜드)
- 로랑 블랑 (Laurent Blanc, 프랑스)
- 유리 조르카에프 (Youri Djorkaeff, 프랑스)
- 크리스토프 뒤가리 (Christophe Dugarry, 프랑스)
- 파트리스 로코 (Patrice Loko, 프랑스)
- 슈테판 쿤츠 (Stefan Kuntz, 독일)
- 안드레아스 뫼러 (Andreas Möller, 독일)
- 크리스티안 치게 (Christian Ziege, 독일)
- 엔리코 키에사 (Enrico Chiesa, 이탈리아)
- 데니스 베르캄프 (Dennis Bergkamp, 네덜란드)
- 요르디 크루이프 (Jordi Cruyff, 네덜란드)
- 패트릭 클라위버르트 (Patrick Kluivert, 네덜란드)
- 페르난두 코우투 (Fernando Couto, 포르투갈)
- 도밍구스 (Domingos, 포르투갈)
- 루이스 피구 (Luís Figo, 포르투갈)
- 주앙 핀투 (João Pinto, 포르투갈)
- 사 핀투 (Sá Pinto, 포르투갈)
- 플로린 러두치우 (Florin Răducioiu, 루마니아)
- 블라디미르 베샤스트니크 (Vladimir Beschastnykh, 러시아)
- 알렉산드르 모스토보이 (Aleksandr Mostovoi, 러시아)
- 오마리 테트라제 (Omari Tetradze, 러시아)
- 일리야 침발라르 (Ilya Tsymbalar, 러시아)
- 앨리 매코이스트 (Ally McCoist, 스코틀랜드)
- 알폰소 (Alfonso, 스페인)
- 기예르모 아모르 (Guillermo Amor, 스페인)
- 호세 루이스 카미네로 (José Luis Caminero, 스페인)
- 하비에르 만하린 (Javier Manjarín, 스페인)
- 쿠빌라이 튀르킬마즈 (Kubilay Türkyilmaz, 스위스)
- 자책골
- 류보슬라프 페네프 (Lyuboslav Penev, 불가리아, 프랑스 상대 자책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