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8년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제3회 - 예선
1. 대회 개요
1968년 UEFA 유럽 선수권 대회(1968 UEFA European Championship) 예선전에는 총 31개국이 참가했으며, 이 팀들은 8개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다(7개 조는 4개 팀, 1개 조는 3개 팀으로 구성되었다). 각조의 1위 팀만이 각 조의 1위 팀만이 8강(준준결승)에 진출할 수 있었다. 8강전은 홈 앤 어웨이 방식의 2경기로 치러졌고, 8강 승리 팀들은 본선 토너먼트에 진출하게 되었다.
- 기간 : 1966년 9월 7일 ~ 1968년 5월 11일
- 참가국 : 31개국
- 총득점 : 98경기 306골(평균 3.12골)
- 득점왕 : 6골
- 야노시 파르카스(János Farkas, 헝가리)
- 루이지 리바(Luigi Riva, 이탈리아)
2. 조별리그
1) 1조 : 스페인, 체코슬로바키아, 아일랜드, 튀르키예
【1966년 10월 23일】 아일랜드 공화국 0-0 스페인【1966년 11월 16일】 아일랜드 공화국 2-1 튀르키예
- 60분: 오닐(O'Neill, 아일랜드 공화국)
- 74분: 맥에보이(McEvoy, 아일랜드 공화국)
- 88분: 오군(Ogün, 튀르키예)
【1966년 12월 7일】 스페인 2-0 아일랜드 공화국
- 20분: 호세 마리아(José María, 스페인)
- 35분: 피리(Pirri, 스페인)
【1967년 2월 1일】 튀르키예 0-0 스페인【1967년 2월 22일】 튀르키예 2-1 아일랜드 공화국
- 35분: 아이한(Ayhan, 튀르키예)
- 78분: 오군(Ogün, 튀르키예)
- 89분: 칸트웰(Cantwell, 아일랜드 공화국)
【1967년 5월 21일】 아일랜드 공화국 0-2 체코슬로바키아
- 15분: 시코라(Szikora, 체코슬로바키아)
- 47분: 마스니(Masný, 체코슬로바키아)
【1967년 5월 31일】 스페인 2-0 튀르키예
- 63분: 그로소(Grosso, 스페인)
- 80분: 헨토(Gento, 스페인)
【1967년 6월 18일】 체코슬로바키아 3-0 튀르키예
- 25분: 아다메크(Adamec, 체코슬로바키아)
- 70분: 아다메크(Adamec, 체코슬로바키아)
- 73분: 유르카닌(Jurkanin, 체코슬로바키아)
【1967년 10월 1일】 체코슬로바키아 1-0 스페인
- 47분: 호르바트(Horváth, 체코슬로바키아)
【1967년 10월 22일】 스페인 2-1 체코슬로바키아
- 32분: 피리(Pirri, 스페인)
- 61분: 가라테(Gárate, 스페인)
- 75분: 쿠나(Kuna, 체코슬로바키아)
【1967년 11월 15일】 튀르키예 0-0 체코슬로바키아【1967년 11월 22일】 체코슬로바키아 1-2 아일랜드 공화국
- 58분: 뎀프시(Dempsey, 체코슬로바키아) - 자책골
- 63분: 트레이시(Treacy, 아일랜드 공화국)
- 86분: 오코너(O'Connor, 아일랜드 공화국)
2) 2조 : 불가리아, 포르투갈, 스웨덴, 노르웨이
【1966년 11월 13일】 불가리아 4-2 노르웨이
- 18분: 차네프(Tsanev, 불가리아)
- 42분: 제코프(Zhekov, 불가리아)
- 43분: 차네프(Tsanev, 불가리아)
- 59분: 하순드(Hasund, 노르웨이)
- 85분: 제코프(Zhekov, 불가리아)
- 86분: 하순드(Hasund, 노르웨이)
【1966년 11월 13일】 포르투갈 1-2 스웨덴
- 21분: 그라사(Graça, 포르투갈)
- 29분: 다니엘손(Danielsson, 스웨덴)
- 87분: 다니엘손(Danielsson, 스웨덴)
【1967년 6월 1일】 스웨덴 1-1 포르투갈
- 19분: 쿠스토디우 핀투(Custódio Pinto, 포르투갈)
- 90분: 스벤손(Svensson, 스웨덴)
【1967년 6월 8일】 노르웨이 1-2 포르투갈
- 15분: 에우제비우(Eusébio, 포르투갈)
- 34분: 이베르센(Iversen, 노르웨이)
- 61분: 에우제비우(Eusébio, 포르투갈)
【1967년 6월 11일】 스웨덴 0-2 불가리아
- 23분: 제코프(Zhekov, 불가리아)
- 82분: 데르멘드지에프(Dermendzhiev, 불가리아)
【1967년 6월 29일】 노르웨이 0-0 불가리아【1967년 9월 3일】 노르웨이 3-1 스웨덴
- 19분: 노르달(Nordahl, 스웨덴)
- 24분: 베르그(Berg, 노르웨이)
- 46분: 비르켈란(Birkeland, 노르웨이)
- 79분: 순데(Sunde, 노르웨이)
【1967년 11월 5일】 스웨덴 5-2 노르웨이
- 15분: 투레손(Turesson, 스웨덴)
- 40분: 다니엘손(Danielsson, 스웨덴)
- 48분: 에릭손(Eriksson, 스웨덴)
- 57분: 이베르센(Iversen, 노르웨이) - 페널티킥
- 85분: 에릭손(Eriksson, 스웨덴)
- 89분: 투레손(Turesson, 스웨덴)
- 90분: 닐센(Nilsen, 노르웨이)
【1967년 11월 12일】 불가리아 3-0 스웨덴
- 43분: 코트코프(Kotkov, 불가리아)
- 44분: 미트코프(Mitkov, 불가리아)
- 75분: 아스파루호프(Asparuhov, 불가리아)
【1967년 11월 12일】 포르투갈 2-1 노르웨이
- 29분: 토레스(Torres, 포르투갈)
- 40분: 닐센(Nilsen, 노르웨이)
- 65분: 그라사(Graça, 포르투갈)
【1967년 11월 26일】 불가리아 1-0 포르투갈63분: 데르멘드지에프(Dermendzhiev, 불가리아)【1967년 12월 17일】 포르투갈 0-0 불가리아
3) 3조 : 소련, 그리스, 오스트리아, 핀란드
【1966년 10월 2일】 핀란드 0-0 오스트리아【1966년 10월 16일】 그리스 2-1 핀란드
- 39분: 알렉시아디스(Alexiadis, 그리스)
- 57분: 메키패(Mäkipää, 핀란드)
- 86분: 알렉시아디스(Alexiadis, 그리스)
【1967년 5월 10일】 핀란드 1-1 그리스
- 18분: 펠토넨(Peltonen, 핀란드)
- 39분: 차이타스(Chaitas, 그리스)
【1967년 6월 11일】 소련 4-3 오스트리아
- 25분: 말로페예프(Malofeyev, 소련)
- 36분: 비쇼베츠(Byshovets, 소련)
- 38분: 호프(Hof, 오스트리아)
- 43분: 치슬렌코(Chislenko, 소련)
- 54분: 볼니(Wolny, 오스트리아)
- 71분: 시베르(Siber, 오스트리아)
- 80분: 스트렐초프(Streltsov, 소련)
【1967년 7월 16일】 소련 4-0 그리스
- 50분: 바니셰프스키(Banishevskiy, 소련)
- 72분: 사보(Sabo, 소련) - 페널티킥
- 77분: 바니셰프스키(Banishevskiy, 소련)
- 83분: 치슬렌코(Chislenko, 소련)
【1967년 8월 30일】 소련 2-0 핀란드
- 14분: 후르칠라바(Khurtsilava, 소련)
- 80분: 치슬렌코(Chislenko, 소련)
【1967년 9월 6일】 핀란드 2-5 소련
- 2분: 사보(Sabo, 소련)
- 14분: 마슬로프(Maslov, 소련)
- 18분: 펠토넨(Peltonen, 핀란드) - 페널티킥
- 25분: 시르야바라(Syrjävaara, 핀란드)
- 35분: 바니셰프스키(Banishevskiy, 소련)
- 56분: 사보(Sabo, 소련) - 페널티킥
- 63분: 말로페예프(Malofeyev, 소련)
【1967년 9월 24일】 오스트리아 2-1 핀란드
- 17분: 플뢰겔(Flögel, 오스트리아)
- 57분: 펠토넨(Peltonen, 핀란드)
- 81분: 그라우삼(Grausam, 오스트리아)
【1967년 10월 4일】 그리스 4-1 오스트리아
- 27분: 시데리스(Sideris, 그리스)
- 34분: 시데리스(Sideris, 그리스) - 페널티킥
- 62분: 그라우삼(Grausam, 오스트리아)
- 63분: 시데리스(Sideris, 그리스)
- 75분: 파파이오아누(Papaioannou, 그리스)
【1967년 10월 15일】 오스트리아 1-0 소련
- 50분: 그라우삼(Grausam, 오스트리아)
【1967년 10월 31일】 그리스 0-1 소련
- 50분: 말로페예프(Malofeyev, 소련)
【1967년 11월 5일】 오스트리아 vs 그리스 [무효화된 경기]
- 31분: 시베르(Siber, 오스트리아)
- 71분: 시데리스(Sideris, 그리스)
4) 4조 : 유고슬라비아, 서독, 알바니아
조 1위는 유고슬라비아로, 서독보다 1점 앞서서 조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서독 또는 통일 독일 팀이 월드컵이나 유럽선수권대회 예선에서 참가했지만 본선에 진출하지 못한 유일한 경우로 남아 있다.
【1967년 4월 8일】 서독 6-0 알바니아
- 5분: 뮐러(Müller, 서독)
- 23분: 뮐러(Müller, 서독)
- 73분: 뮐러(Müller, 서독)
- 77분: 뢰어(Löhr, 서독)
- 78분: 뢰어(Löhr, 서독)
- 80분: 뮐러(Müller, 서독) - 페널티킥
【1967년 5월 3일】 유고슬라비아 1-0 서독
- 67분: 스코블라르(Skoblar, 유고슬라비아)
【1967년 5월 14일】 알바니아 0-2 유고슬라비아
- 22분: 잠바타(Zambata, 유고슬라비아)
- 56분: 잠바타(Zambata, 유고슬라비아)
【1967년 10월 7일】 서독 3-1 유고슬라비아
- 10분: 뢰어(Löhr, 서독)
- 46분: 잠바타(Zambata, 유고슬라비아)
- 71분: 뮐러(Müller, 서독)
- 86분: 젤러(Seeler, 서독)
【1967년 11월 12일】 유고슬라비아 4-0 알바니아
- 44분: 스프레초(Sprečo, 유고슬라비아)
- 48분: 오심(Osim, 유고슬라비아)
- 56분: 라자레비치(Lazarević, 유고슬라비아)
- 82분: 오심(Osim, 유고슬라비아)
【1967년 12월 17일】 알바니아 0-0 서독
5) 5조 : 헝가리, 동독, 네덜란드, 덴마크
【1966년 9월 7일】 네덜란드 2-2 헝가리
- 35분: 파이스(Pijs, 네덜란드)
- 54분: 크루이프(Cruyff, 네덜란드)
- 70분: 몰나르(Molnár, 헝가리)
- 86분: 메소이(Mészöly, 헝가리)
【1966년 9월 21일】 헝가리 6-0 덴마크
- 1분: 알베르트(Albert, 헝가리)
- 9분: 메소이(Mészöly, 헝가리) - 페널티킥
- 14분: 베네(Bene, 헝가리)
- 30분: 알베르트(Albert, 헝가리)
- 36분: 파르카시(Farkas, 헝가리)
- 83분: 바르가(Varga, 헝가리)
【1966년 11월 30일】 네덜란드 2-0 덴마크
- 88분: 스바르트(Swart, 네덜란드)
- 90분: 판 데르 카위런(Van der Kuijlen, 네덜란드)
【1967년 4월 5일】 동독 4-3 네덜란드
- 10분: 뮐더르(Mulder, 네덜란드)
- 12분: 카이저(Keizer, 네덜란드)
- 50분: 포겔(Vogel, 동독)
- 62분: 프렌첼(Frenzel, 동독)
- 65분: 카이저(Keizer, 네덜란드)
- 78분: 프렌첼(Frenzel, 동독)
- 85분: 프렌첼(Frenzel, 동독)
【1967년 5월 10일】 헝가리 2-1 네덜란드
- 8분: 메소이(Mészöly, 헝가리) - 페널티킥
- 30분: 파르카시(Farkas, 헝가리)
- 63분: 수르비어(Suurbier, 네덜란드)
【1967년 5월 24일】 덴마크 0-2 헝가리
- 30분: 알베르트(Albert, 헝가리)
- 70분: 베네(Bene, 헝가리)
【1967년 6월 4일】 덴마크 1-1 동독
- 5분: 뢰베(Löwe, 동독)
- 65분: 비에레(Bjerre, 덴마크) - 페널티킥
【1967년 9월 13일】 네덜란드 1-0 동독
- 2분: 크루이프(Cruyff, 네덜란드)
【1967년 9월 27일】 헝가리 3-1 동독
- 9분: 파르카시(Farkas, 헝가리)
- 48분: 파르카시(Farkas, 헝가리)
- 50분: 파르카시(Farkas, 헝가리)
- 58분: 프렌첼(Frenzel, 동독)
【1967년 10월 4일】 덴마크 3-2 네덜란드
- 43분: 비에레(Bjerre, 덴마크) - 페널티킥
- 54분: 쇤더가르드(Søndergaard, 덴마크)
- 74분: 수르비어(Suurbier, 네덜란드)
- 74분: 비에레(Bjerre, 덴마크)
- 76분: 이스라엘(Israël, 네덜란드)
【1967년 10월 11일】 동독 3-2 덴마크
- 25분: 디레보르그(Dyreborg, 덴마크)
- 35분: 쾨르너(Körner, 동독) - 페널티킥
- 38분: 쇤더가르드(Søndergaard, 덴마크)
- 59분: 판카우(Pankau, 동독)
- 73분: 판카우(Pankau, 동독)
【1967년 10월 29일】 동독 1-0 헝가리
- 51분: 프렌첼(Frenzel, 동독)
6) 6조 : 이탈리아, 루마니아, 스위스, 키프로스
【1966년 11월 2일】 루마니아 4-2 스위스
- 8분: 드리데아(Dridea, 루마니아)
- 11분: 프러틸러(Frățilă, 루마니아)
- 25분: 프러틸러(Frățilă, 루마니아)
- 38분: 프러틸러(Frățilă, 루마니아)
- 54분: 퀸츨리(Künzli, 스위스)
- 70분: 오더마트(Odermatt, 스위스)
【1966년 11월 26일】 이탈리아 3-1 루마니아
- 7분: 도브린(Dobrin, 루마니아)
- 30분: 마졸라(Mazzola, 이탈리아)
- 43분: 데 파올리(De Paoli, 이탈리아)
- 67분: 마졸라(Mazzola, 이탈리아)
【1966년 12월 3일】 키프로스 1-5 루마니아
- 31분: 피에리데스(Pierides, 키프로스)
- 49분: 드리데아(Dridea, 루마니아)
- 51분: 루체스쿠(Lucescu, 루마니아)
- 65분: 프러틸러(Frățilă, 루마니아)
- 74분: 프러틸러(Frățilă, 루마니아)
- 82분: 드리데아(Dridea, 루마니아)
【1967년 3월 22일】 키프로스 0-2 이탈리아
- 76분: 도멩기니(Domenghini, 이탈리아)
- 88분: 파케티(Facchetti, 이탈리아)
【1967년 4월 23일】 루마니아 7-0 키프로스
- 4분: 루체스쿠(Lucescu, 루마니아)
- 15분: 마르티노비치(Martinovici, 루마니아)
- 24분: 두미트리우(Dumitriu, 루마니아)
- 47분: I. 이오네스쿠(I. Ionescu, 루마니아)
- 52분: 두미트리우(Dumitriu, 루마니아)
- 77분: 두미트리우(Dumitriu, 루마니아)
- 86분: I. 이오네스쿠(I. Ionescu, 루마니아)
【1967년 5월 24일】 스위스 7-1 루마니아
- 12분: 퀸츨리(Künzli, 스위스)
- 15분: 쿠엥탱(Quentin, 스위스)
- 32분: 쿠엥탱(Quentin, 스위스)
- 47분: 블래틀러(Blättler, 스위스)
- 59분: 블래틀러(Blättler, 스위스)
- 63분: 오더마트(Odermatt, 스위스)
- 66분: 퀸츨리(Künzli, 스위스)
- 70분: 도브린(Dobrin, 루마니아)
【1967년 6월 25일】 루마니아 0-1 이탈리아
- 81분: 베르티니(Bertini, 이탈리아)
【1967년 11월 1일】 이탈리아 5-0 키프로스
- 12분: 마졸라(Mazzola, 이탈리아)
- 22분: 마졸라(Mazzola, 이탈리아)
- 46분: 리바(Riva, 이탈리아)
- 55분: 리바(Riva, 이탈리아)
- 59분: 리바(Riva, 이탈리아)
【1967년 11월 8일】 스위스 5-0 키프로스
- 30분: 블래틀러(Blättler, 스위스)
- 41분: 퀸츨리(Künzli, 스위스)
- 55분: 블래틀러(Blättler, 스위스)
- 56분: 뒤르(Dürr, 스위스) - 페널티킥
- 72분: 오더마트(Odermatt, 스위스)
【1967년 11월 18일】 스위스 2-2 이탈리아
- 34분: 쿠엥탱(Quentin, 스위스)
- 66분: 리바(Riva, 이탈리아)
- 68분: 퀸츨리(Künzli, 스위스)
- 85분: 리바(Riva, 이탈리아) - 페널티킥
【1967년 12월 23일】 이탈리아 4-0 스위스
- 3분: 마졸라(Mazzola, 이탈리아)
- 13분: 리바(Riva, 이탈리아)
- 45분: 도멩기니(Domenghini, 이탈리아)
- 67분: 도멩기니(Domenghini, 이탈리아)
【1968년 2월 17일】 키프로스 2-1 스위스
- 9분: 파나기오투(Panagiotou, 키프로스) - 자책골
- 22분: 아스프루(Asprou, 키프로스)
- 46분: 파파도풀로스(Papadopoulos, 키프로스)
7) 7조 : 프랑스, 벨기에, 폴란드, 룩셈부르크
【1966년 10월 2일】 폴란드 4-0 룩셈부르크
- 49분: 야로시크(Jarosik, 폴란드)
- 54분: 리베르다(Liberda, 폴란드)
- 73분: 그제고르치크(Grzegorczyk, 폴란드)
- 87분: 사데크(Sadek, 폴란드)
【1966년 10월 22일】 프랑스 2-1 폴란드
- 26분: 디 날로(Di Nallo, 프랑스)
- 61분: 그제고르치크(Grzegorczyk, 폴란드)
- 85분: 레흐(Lech, 프랑스)
【1966년 11월 11일】 벨기에 2-1 프랑스
- 51분: 반 힘스트(Van Himst, 벨기에)
- 54분: 반 힘스트(Van Himst, 벨기에)
- 67분: 레흐(Lech, 프랑스)
【1966년 11월 26일】 룩셈부르크 0-3 프랑스
- 8분: 에르베르(Herbet, 프랑스)
- 40분: 레벨리(Revelli, 프랑스)
- 41분: 레흐(Lech, 프랑스)
【1967년 3월 19일】 룩셈부르크 0-5 벨기에
- 19분: 반 힘스트(Van Himst, 벨기에)
- 30분: 스토크만(Stockman, 벨기에)
- 36분: 반 힘스트(Van Himst, 벨기에)
- 59분: 스토크만(Stockman, 벨기에)
- 73분: 스토크만(Stockman, 벨기에)
【1967년 4월 16일】 룩셈부르크 0-0 폴란드【1967년 5월 21일】 폴란드 3-1 벨기에
- 28분: 루반스키(Lubański, 폴란드)
- 41분: 루반스키(Lubański, 폴란드)
- 52분: 푸이스(Puis, 벨기에)
- 72분: 숄티식(Szołtysik, 폴란드)
【1967년 9월 17일】 폴란드 1-4 프랑스
- 13분: 에르뱅(Herbin, 프랑스)
- 26분: 브리치(Brychczy, 폴란드)
- 33분: 디 날로(Di Nallo, 프랑스)
- 63분: 기(Guy, 프랑스)
- 85분: 디 날로(Di Nallo, 프랑스)
【1967년 10월 8일】 벨기에 2-4 폴란드
- 15분: 데프린트(Devrindt, 벨기에)
- 26분: 즈미예프스키(Żmijewski, 폴란드)
- 35분: 데프린트(Devrindt, 벨기에)
- 45분: 브리치(Brychczy, 폴란드)
- 51분: 즈미예프스키(Żmijewski, 폴란드)
- 70분: 즈미예프스키(Żmijewski, 폴란드)
【1967년 10월 28일】 프랑스 1-1 벨기에
- 37분: 클라에센(Claessen, 벨기에)
- 84분: 에르뱅(Herbin, 프랑스)
【1967년 11월 22일】 벨기에 3-0 룩셈부르크
- 62분: 티오(Thio, 벨기에)
- 66분: 클라에센(Claessen, 벨기에)
- 76분: 티오(Thio, 벨기에)
【1967년 12월 23일】 프랑스 3-1 룩셈부르크
- 42분: 루베(Loubet, 프랑스)
- 47분: 루베(Loubet, 프랑스)
- 53분: 루베(Loubet, 프랑스)
- 85분: 클라인(Klein, 룩셈부르크)
8) 8조 :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
8조의 결과는 1966-67년과 1967-68년 브리티시 홈 챔피언십 대회의 결과를 합산하여 결정되었다. 조 1위는 잉글랜드로, 스코틀랜드보다 1점 앞서서 조 1위를 차지했다.
【1966년 10월 22일】 웨일스 1-1 스코틀랜드
- 77분: R. 데이비스(R. Davies, 웨일스)
- 86분: 로(Law, 스코틀랜드)
【1966년 10월 22일】 북아일랜드 0-2 잉글랜드
- 40분: 헌트(Hunt, 잉글랜드)
- 60분: 피터스(Peters, 잉글랜드)
【1966년 11월 16일】 스코틀랜드 2-1 북아일랜드
- 9분: 니콜슨(Nicholson, 북아일랜드)
- 14분: 머독(Murdoch, 스코틀랜드)
- 35분: 레녹스(Lennox, 스코틀랜드)
【1966년 11월 16일】 잉글랜드 5-1 웨일스
- 30분: 허스트(Hurst, 잉글랜드)
- 34분: 허스트(Hurst, 잉글랜드)
- 36분: W. 데이비스(W. Davies, 웨일스)
- 43분: B. 찰턴(B. Charlton, 잉글랜드)
- 65분: 헤네시(Hennessey, 웨일스) - 자책골
- 84분: J. 찰턴(J. Charlton, 잉글랜드)
【1967년 4월 12일】 북아일랜드 0-0 웨일스【1967년 4월 15일】 잉글랜드 2-3 스코틀랜드
- 27분: 로(Law, 스코틀랜드)
- 78분: 레녹스(Lennox, 스코틀랜드)
- 84분: J. 찰턴(J. Charlton, 잉글랜드)
- 87분: 맥캘리오그(McCalliog, 스코틀랜드)
- 88분: 허스트(Hurst, 잉글랜드)
【1967년 10월 21일】 웨일스 0-3 잉글랜드
- 34분: 피터스(Peters, 잉글랜드)
- 87분: B. 찰턴(B. Charlton, 잉글랜드)
- 90분: 볼(Ball, 잉글랜드) - 페널티킥
【1967년 10월 21일】 북아일랜드 1-0 스코틀랜드
- 69분: 클레멘츠(Clements, 북아일랜드)
【1967년 11월 22일】 잉글랜드 2-0 북아일랜드
- 43분: 허스트(Hurst, 잉글랜드)
- 62분: B. 찰턴(B. Charlton, 잉글랜드)
【1967년 11월 22일】 스코틀랜드 3-2 웨일스
- 16분: 길진(Gilzean, 스코틀랜드)
- 18분: R. 데이비스(R. Davies, 웨일스)
- 57분: 더반(Durban, 웨일스)
- 65분: 길진(Gilzean, 스코틀랜드)
- 78분: 맥키논(McKinnon, 스코틀랜드)
【1968년 2월 24일】 스코틀랜드 1-1 잉글랜드
- 19분: 피터스(Peters, 잉글랜드)
- 39분: 휴즈(Hughes, 스코틀랜드)
【1968년 2월 28일】 웨일스 2-0 북아일랜드
- 75분: 리스(Rees, 웨일스)
- 84분: W. 데이비스(W. Davies, 웨일스)
3. 최종 플레이오프
1) 불가리아 vs 이탈리아
【1968년 4월 6일】 불가리아 3-2 이탈리아
- 11분: 코트코프(Kotkov, 불가리아) - 페널티킥
- 60분: 페네프(Penev, 불가리아) - 자책골
- 66분: 데르멘드지에프(Dermendzhiev, 불가리아)
- 73분: 제코프(Zhekov, 불가리아)
- 83분: 프라티(Prati, 이탈리아)
【1968년 4월 20일】 이탈리아 2-0 불가리아
- 14분: 프라티(Prati, 이탈리아)
- 55분: 도멩기니(Domenghini, 이탈리아)
이탈리아가 합계 4-3으로 승리하여 유로 1968 본선에 진출했다.
2) 헝가리 vs 소련
【1968년 5월 4일】 헝가리 2-0 소련
- 21분: 파르카시(Farkas, 헝가리)
- 85분: 괴뢰치(Göröcs, 헝가리)
【1968년 5월 11일】 소련 3-0 헝가리
- 22분: 솔리모시(Solymosi, 헝가리) - 자책골
- 59분: 후르칠라바(Khurtsilava, 소련)
- 73분: 비쇼베츠(Byshovets, 소련)
소련이 합계 3-2로 승리하여 유로 1968 본선에 진출했다.
3) 잉글랜드 vs 스페인
【1968년 4월 3일】 잉글랜드 1-0 스페인
- 84분: B. 찰턴(B. Charlton, 잉글랜드)
【1968년 5월 8일】 스페인 1-2 잉글랜드
- 47분: 아만시오(Amancio, 스페인)
- 54분: 피터스(Peters, 잉글랜드)
- 81분: 헌터(Hunter, 잉글랜드)
잉글랜드가 합계 3-1로 승리하여 유로 1968 본선에 진출했다.
4) 프랑스 vs 유고슬라비아
【1968년 4월 6일】 프랑스 1-1 유고슬라비아
- 66분: 무세미치(Musemić, 유고슬라비아)
- 78분: 디 날로(Di Nallo, 프랑스)
【1968년 4월 24일】 유고슬라비아 5-1 프랑스
- 3분: 페트코비치(Petković, 유고슬라비아)
- 13분: 무세미치(Musemić, 유고슬라비아)
- 14분: 자이치(Džajić, 유고슬라비아)
- 32분: 페트코비치(Petković, 유고슬라비아)
- 33분: 디 날로(Di Nallo, 프랑스)
- 79분: 무세미치(Musemić, 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가 합계 6-2로 승리하여 유로 1968 본선에 진출했다.
4. 득점자 명단
- 6골
- 야노시 파르카스 (János Farkas, 헝가리)
- 루이지 리바 (Luigi Riva, 이탈리아)
- 5골
- 헨닝 프렌첼 (Henning Frenzel, 동독)
- 플뢰리 디날로 (Fleury Di Nallo, 프랑스)
- 산드로 마촐라 (Sandro Mazzola, 이탈리아)
- 콘스탄틴 프라틸라 (Constantin Frățilă, 루마니아)
- 프리츠 퀸츠리 (Fritz Künzli, 스위스)
- 게르트 뮐러 (Gerd Müller, 서독)
- 4골
- 폴 반 힘스트 (Paul Van Himst, 벨기에)
- 페타르 제코프 (Petar Zhekov, 불가리아)
- 바비 찰튼 (Bobby Charlton, 잉글랜드)
- 제프 허스트 (Geoff Hurst, 잉글랜드)
- 마틴 피터스 (Martin Peters, 잉글랜드)
- 요르고스 시데리스 (Giorgos Sideris, 그리스)
- 안젤로 도멘기니 (Angelo Domenghini, 이탈리아)
- 롤프 블래틀러 (Rolf Blättler, 스위스)
- 3골
- 레오폴트 그라우잠 (Leopold Grausam, 오스트리아)
- 자크 스톡만 (Jacques Stockman, 벨기에)
- 딘코 데르멘지예프 (Dinko Dermendzhiev, 불가리아)
- 크레스텐 비에레 (Kresten Bjerre, 덴마크)
- 유하니 펠토넨 (Juhani Peltonen, 핀란드)
- 조르주 레슈 (Georges Lech, 프랑스)
- 샤를리 루베 (Charly Loubet, 프랑스)
- 플로리안 알버트 (Flórián Albert, 헝가리)
- 칼만 메쇨리 (Kálmán Mészöly, 헝가리)
- 야누시 즈미예프스키 (Janusz Żmijewski, 폴란드)
- 미르체아 드리데아 (Mircea Dridea, 루마니아)
- 에밀 두미트리우 (Emil Dumitriu, 루마니아)
- 아나톨리 바니셰브스키 (Anatoliy Banishevskiy, 소련)
- 이고르 치슬렌코 (Igor Chislenko, 소련)
- 에두아르드 말로페예프 (Eduard Malofeyev, 소련)
- 요제프 사보 (Yozhef Sabo, 소련)
- 잉에 다니엘손 (Inge Danielsson, 스웨덴)
- 칼 오더마트 (Karl Odermatt, 스위스)
- 르네-피에르 캉탱 (René-Pierre Quentin, 스위스)
- 한네스 뢰어 (Hannes Löhr, 서독)
- 바히딘 무세믹 (Vahidin Musemić, 유고슬라비아)
- 슬라벤 잠바타 (Slaven Zambata, 유고슬라비아)
- 2골
- 헬무트 시버 (Helmut Siber, 오스트리아)
- 로저 클라센 (Roger Claessen, 벨기에)
- 요한 데브린트 (Johan Devrindt, 벨기에)
- 조니 티오 (Johnny Thio, 벨기에)
- 니콜라 코트코프 (Nikola Kotkov, 불가리아)
- 니콜라 차네프 (Nikola Tsanev, 불가리아)
- 요제프 아다멕 (Jozef Adamec, 체코슬로바키아)
- 톰 손데르고르 (Tom Søndergaard, 덴마크)
- 헤르베르트 판카우 (Herbert Pankau, 동독)
- 잭 찰튼 (Jack Charlton, 잉글랜드)
- 로베르 에르뱅 (Robert Herbin, 프랑스)
- 알레코스 알렉시아디스 (Alekos Alexiadis, 그리스)
- 페렌츠 베네 (Ferenc Bene, 헝가리)
- 피에리노 프라티 (Pierino Prati, 이탈리아)
- 요한 크루이프 (Johan Cruyff, 네덜란드)
- 피트 케이저 (Piet Keizer, 네덜란드)
- 윔 수르비어 (Wim Suurbier, 네덜란드)
- 케틸 하순드 (Kjetil Hasund, 노르웨이)
- 오드 이베르센 (Odd Iversen, 노르웨이)
- 올라프 닐센 (Olav Nilsen, 노르웨이)
- 루챤 브리흐치 (Lucjan Brychczy, 폴란드)
- 리샤르드 그제고르칙 (Ryszard Grzegorczyk, 폴란드)
- 브워지미에지 루반스키 (Włodzimierz Lubański, 폴란드)
- 에우제비우 (Eusébio, 포르투갈)
- 자이메 그라사 (Jaime Graça, 포르투갈)
- 니콜라에 도브린 (Nicolae Dobrin, 루마니아)
- 이온 이오네스쿠 (Ion Ionescu, 루마니아)
- 미르체아 루체스쿠 (Mircea Lucescu, 루마니아)
- 앨런 길진 (Alan Gilzean, 스코틀랜드)
- 데니스 로 (Denis Law, 스코틀랜드)
- 바비 레녹스 (Bobby Lennox, 스코틀랜드)
- 아나톨리 비쇼베츠 (Anatoliy Byshovets, 소련)
- 무르타즈 쿠르실라바 (Murtaz Khurtsilava, 소련)
- 피리 (Pirri, 스페인)
- 레이프 에릭손 (Leif Eriksson, 스웨덴)
- 톰 튀레손 (Tom Turesson, 스웨덴)
- 오군 알티파르막 (Ogün Altıparmak, 터키)
- 론 데이비스 (Ron Davies, 웨일스)
- 윈 데이비스 (Wyn Davies, 웨일스)
- 이비차 오심 (Ivica Osim, 유고슬라비아)
- 일리야 페트코비치 (Ilija Petković, 유고슬라비아)
- 1골
- 루디 플뢰겔 (Rudi Flögel, 오스트리아)
- 에리히 호프 (Erich Hof, 오스트리아)
- 프란츠 볼니 (Franz Wolny, 오스트리아)
- 빌프리드 푸이스 (Wilfried Puis, 벨기에)
- 게오르기 아스파루호프 (Georgi Asparuhov, 불가리아)
- 바실 미트코프 (Vasil Mitkov, 불가리아)
- 멜리스 아스프로우 (Melis Asprou, 키프로스)
- 팜불리스 파파도풀로스 (Pamboullis Papadopoulos, 키프로스)
- 코스타키스 피에리데스 (Kostakis Pierides, 키프로스)
- 알렉산더 호르바트 (Alexander Horváth, 체코슬로바키아)
- 요제프 유르카닌 (Josef Jurkanin, 체코슬로바키아)
- 라디슬라브 쿠나 (Ladislav Kuna, 체코슬로바키아)
- 보예텍 마스니 (Vojtech Masný, 체코슬로바키아)
- 유라이 스지코라 (Juraj Szikora, 체코슬로바키아)
- 에릭 뒤레보르그 (Erik Dyreborg, 덴마크)
- 게르하르트 쾨르너 (Gerhard Körner, 동독)
- 볼프람 뢰베 (Wolfram Löwe, 동독)
- 에버하르트 포겔 (Eberhard Vogel, 동독)
- 앨런 볼 (Alan Ball, 잉글랜드)
- 로저 헌트 (Roger Hunt, 잉글랜드)
- 노먼 헌터 (Norman Hunter, 잉글랜드)
- 페르티 매키파 (Pertti Mäkipää, 핀란드)
- 시모 쉬르자바라 (Simo Syrjävaara, 핀란드)
- 앙드레 기 (André Guy, 프랑스)
- 이브 에르베 (Yves Herbet, 프랑스)
- 에르베 르벨리 (Hervé Revelli, 프랑스)
- 스타티스 차이타스 (Stathis Chaitas, 그리스)
- 미미스 파파이오안누 (Mimis Papaioannou, 그리스)
- 야노시 괴뢰츠 (János Göröcs, 헝가리)
- 데저 모나르 (Dezső Molnár, 헝가리)
- 졸탄 바르가 (Zoltán Varga, 헝가리)
- 마리오 베르티니 (Mario Bertini, 이탈리아)
- 비르지니오 데 파올리 (Virginio De Paoli, 이탈리아)
- 자친토 팍케티 (Giacinto Facchetti, 이탈리아)
- 장 클라인 (Jean Klein, 룩셈부르크)
- 리너스 이스라엘 (Rinus Israël, 네덜란드)
- 얀 멀더 (Jan Mulder, 네덜란드)
- 미엘 피이스 (Miel Pijs, 네덜란드)
- 스자크 스와르트 (Sjaak Swart, 네덜란드)
- 빌리 반 더 쿠일렌 (Willy van der Kuijlen, 네덜란드)
- 데이브 클레멘츠 (Dave Clements, 북아일랜드)
- 지미 니콜슨 (Jimmy Nicholson, 북아일랜드)
- 하랄드 베르그 (Harald Berg, 노르웨이)
- 스벤 오토 비르켈란드 (Sven Otto Birkeland, 노르웨이)
- 하랄드 순데 (Harald Sunde, 노르웨이)
- 안제이 야로식 (Andrzej Jarosik, 폴란드)
- 얀 리베르다 (Jan Liberda, 폴란드)
- 예지 사덱 (Jerzy Sadek, 폴란드)
- 지그프리드 쇼워티식 (Zygfryd Szołtysik, 폴란드)
- 쿠스투디오 핀토 (Custódio Pinto, 포르투갈)
- 조제 아우구스토 토레스 (José Augusto Torres, 포르투갈)
- 노엘 캔트웰 (Noel Cantwell, 아일랜드 공화국)
- 앤디 맥에보이 (Andy McEvoy, 아일랜드 공화국)
- 털러 오코너 (Turlough O'Connor, 아일랜드 공화국)
- 프랭크 오닐 (Frank O'Neill, 아일랜드 공화국)
- 레이 트리시 (Ray Treacy, 아일랜드 공화국)
- 플로레아 마르티노비치 (Florea Martinovici, 루마니아)
- 존 휴즈 (John Hughes, 스코틀랜드)
- 짐 맥칼리오그 (Jim McCalliog, 스코틀랜드)
- 로니 맥키논 (Ronnie McKinnon, 스코틀랜드)
- 바비 머독 (Bobby Murdoch, 스코틀랜드)
- 발레리 마슬로프 (Valery Maslov, 소련)
- 에두아르드 스트렐초프 (Eduard Streltsov, 소련)
- 아만시오 아마로 (Amancio Amaro, 스페인)
- 호세 에우로히오 가라테 (José Eulogio Gárate, 스페인)
- 호세 마리아 가르시아 라비야 (José María García Lavilla, 스페인)
- 프란시스코 겐토 (Francisco Gento, 스페인)
- 라몬 그로소 (Ramón Grosso, 스페인)
- 토마스 노르달 (Thomas Nordahl, 스웨덴)
- 잉바르 스벤손 (Ingvar Svensson, 스웨덴)
- 리차드 뒤르 (Richard Dürr, 스위스)
- 아이한 엘마스타슬루 (Ayhan Elmastaşoğlu, 터키)
- 앨런 더번 (Alan Durban, 웨일스)
- 로니 리스 (Ronnie Rees, 웨일스)
- 우베 젤러 (Uwe Seeler, 서독)
- 드라간 자지치 (Dragan Džajić, 유고슬라비아)
- 보잉 라자레비치 (Vojin Lazarević, 유고슬라비아)
- 요시프 스코블라르 (Josip Skoblar, 유고슬라비아)
- 에딘 스프레초 (Edin Sprečo, 유고슬라비아)
- 1 자책골
- 디미타르 페네프 (Dimitar Penev, 불가리아) (이탈리아 상대)
- 코스타스 파나이오토우 (Kostas Panayiotou, 키프로스) (스위스 상대)
- 에르뇌 솔리모시 (Ernő Solymosi, 헝가리) (소련 상대)
- 존 뎀프시 (John Dempsey, 아일랜드 공화국) (체코슬로바키아 상대)
- 테리 헤네시 (Terry Hennessey, 웨일스) (잉글랜드 상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