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31일 목요일

[1885년]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 시카고 화이트스타킹스 3-3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1885]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
시카고 화이트스타킹스 3-3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역사상 가장 논란 많았던 챔피언십의 기록

 

1. 1885년 월드 시리즈 개요

 
1885년 월드 시리즈는 현대 메이저리그 월드 시리즈의 전신으로, 야구 역사에서 매우 의미 있는 이벤트이다. 이 시리즈는 단순한 경기 결과를 넘어 여러 논란과 이야기로 가득하여 지금도 야구 팬들 사이에서 자주 회자된다. 내셔널리그 챔피언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와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 챔피언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가 맞붙은 연말 플레이오프 시리즈였다. 메이저리그 두 리그 간 첫 공식 맞대결 중 하나이며, 7경기가 4개 도시에서 진행된 최초 사례다.
 

2. 참가 팀과 경기 장소

 
참가 팀은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87251)와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7933)였다. 경기 도시는 시카고, 세인트루이스, 피츠버그, 신시내티였다. 실제로 7경기가 모두 진행되었으며, 최종 결과는 331무로 논란 속에서 무승부 처리되었다.
 

3. 경기 일정 및 주요 결과

 

1) 1차전

  • 일시 및 장소 : 18851014, 시카고 웨스트 사이드 파크
  • 경기 결과 :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 5-5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8회 무승부 종료)
  • 주요 내용 : 양 팀 투수 존 클락슨(시카고)과 밥 카루더스(세인트루이스)가 팽팽한 투수전을 펼쳤다.
  • 관중 수 : 3,000
  • 실책 및 기록 : 시카고 11안타 6실책, 세인트루이스 7안타 4실책
 

2) 2차전

  • 일시 및 장소 : 18851015, 세인트루이스 스포츠맨스 파크
  • 경기 결과 :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 5-4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6회 몰수승)
  • 주요 내용 : 세인트루이스 감독 찰스 코미스키가 심판 판정에 항의하며 경기 도중 팀을 그라운드에서 철수시켜 경기가 시카고 몰수승으로 처리됨.
  • 관중 수 : 3,000
  • 주심 : 데이브 설리반
 

3) 3차전

  • 일시 및 장소 : 18851016, 세인트루이스 스포츠맨스 파크
  • 경기 결과 :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7-4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
  • 주요 내용 : 시카고가 수비에서 12개의 실책을 범하며 패배했다. 밥 카루더스가 승리 투수가 됨.
  • 관중 수 : 3,000
  • 주심 : 해리 맥카프리
 

4) 4차전

  • 일시 및 장소 : 18851017, 세인트루이스 스포츠맨스 파크
  • 경기 결과 :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3-2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
  • 주요 내용 : 접전 끝에 8회에 승부가 갈렸다. 시카고의 애브너 달림플이 홈런 1개 기록.
  • 주심 : 윌리엄 메다트
 

5) 5차전

  • 일시 및 장소 : 18851023, 피츠버그 레크리에이션 파크
  • 경기 결과 :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 9-2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7회 조기 종료, 어둠 때문)
  • 주요 내용 : 추운 날씨에 관중 500명 미만. 시카고가 강력한 타격과 수비로 대승.
  • 주심 : 존 켈리
 

6) 6차전

  • 일시 및 장소 : 18851024, 신시내티 아메리칸 파크
  • 경기 결과 :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 9-2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 주요 내용 : 시리즈의 장소가 신시내티로 이동, 짐 맥코믹이 호투하며 시카고가 다시 승리.
  • 관중 수 : 1,500
  • 주심 : 존 켈리
 

7) 7차전

  • 일시 및 장소 : 18851024, 신시내티 아메리칸 파크
  • 경기 결과 :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13-4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
  • 주요 내용 : 데이브 파우츠 선발 투수 활약 속에 세인트루이스가 대승. 세인트루이스는 2차전 몰수패를 인정하지 않고 우승 주장. 양 팀이 상금 1,000달러를 반씩 나누었다.
  • 관중 수 : 1,200
  • 주심 : 존 켈리
 

4. 주요 논란과 무승부 처리

 
1885년 월드 시리즈는 331무라는 기록으로 마무리되었지만, 여러 논란이 있었다. 특히 2차전 몰수승과 시리즈 종료에 대해 양 팀이 각각 자신들이 우승팀이라 주장했다. 세인트루이스는 몰수 패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양 팀은 상금 1,000달러를 반씩 나누는 것으로 마무리했다. 경기 장소 분산과 날씨, 어두운 조명으로 인한 경기 조기 종료도 문제가 되었다. 원래 예정되었던 추가 5경기는 일정 문제와 논란으로 모두 취소되었다.
 

5. 역사적 의미와 영향

 
비록 무승부로 기록되었지만, 1885년 월드 시리즈는 메이저리그 월드 시리즈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두 리그 간 첫 공식 챔피언 결정전으로서 협력과 경쟁을 보여줬으며, 경기 중 발생한 논란은 심판 판정과 경기 규칙 개선 필요성을 알렸다. 경기장 이동과 팬 참여, 경기 운영 문제도 드러내 향후 프로 스포츠 이벤트 운영에 참고가 되었다.
 

6. 마무리

 
1885년 월드 시리즈는 단순한 경기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당시 야구계의 복잡한 이해관계와 규칙, 열정이 얽혀 만들어진 역사적 이벤트이다. 오늘날 메이저리그 월드 시리즈가 탄탄한 전통을 갖게 된 데에는 이러한 초기 챔피언십들의 희생과 경험이 큰 밑거름이 되었다.

7.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참고자료] 본 글은 Baseball Reference(https://www.baseball-reference.com), SABR(https://sabr.org), 그리고 기타 야구 역사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1885년]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AA) 시즌 :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우승

[1885]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AA) 시즌 :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우승

 
1885년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American Association, 이하 AA)은 격변의 시즌을 맞이했다. 1884년까지 12개 팀으로 운영되던 리그는 구조 조정을 통해 8개 팀으로 축소되었고, 이로 인해 경기 방식과 리그 전반에 변화가 생겼다. 시즌은 418일 개막하여 105일에 종료되었으며, 우승은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St. Louis Browns)가 차지했다.
 

1. 팀 구성의 재편

 
이전 시즌에 비해 AA는 큰 규모의 재정비를 단행했다. 콜럼버스 버키스(Columbus Buckeyes), 인디애나폴리스 후저스(Indianapolis Hoosiers), 그리고 톨레도 블루스톡킹스(Toledo Blue Stockings) 등 총 세 팀이 리그에서 탈퇴하며 해체되었고, 시즌 중간에 급하게 합류했던 리치먼드 버지니안스(Richmond Virginians)는 다시 마이너리그로 복귀하게 되었다.

이러한 구조조정으로 AA는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인 운영을 지향하게 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시즌은 8개 팀 체제로 재정비되었다. 이와 함께 팀명 변경도 있었는데, 브루클린 애틀랜틱스(Brooklyn Atlantics)는 브루클린 그레이스(Brooklyn Grays), 루이빌 이클립스(Louisville Eclipse)는 이름은 그대로 두었지만 운영 방향에서 변화가 있었다.
 

2. 경기 방식과 시즌 운영

 
리그가 8개 팀으로 축소되면서, 경기 운영 방식도 내셔널리그와 동일하게 조정되었다. 각 팀은 다른 7개 팀과 각각 16번 맞붙는 방식으로 총 112경기를 소화하게 되었다. 이 방식은 경기 수가 균일하고 시즌 일정이 예측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이 해를 끝으로 AA140경기 체제로 전환하게 된다.
 
정규 시즌은 418일 개막하였고, 마지막 경기는 105일에 브루클린 그레이스와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간의 경기로 종료되었다. 리그 우승은 시즌 내내 뛰어난 전력을 보여준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가 차지했다.
 
포스트시즌은 1014일에 열린 두 번째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World's Championship Series) 1차전을 시작으로 개막하였으며, 1024일에 7차전을 끝으로 종료되었다. 이 시리즈는 74선승제로 진행되었으나, 시카고 화이트스톡킹스와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는 결국 7경기 끝에 논란 속 무승부로 마무리되었다.
 

3. 규칙 변화와 투수 개방

 
1885AA는 몇 가지 중요한 규칙 변화를 도입했다. 가장 큰 변화는 67, 투수에 대한 제약을 전면 해제한 것이다. 그 이전까지는 투수가 어깨 아래에서만 공을 던질 수 있었으나, 이 규제가 철폐되면서 어깨 위에서 공을 던지는 오버핸드 투구가 공식적으로 허용되었다. 이는 투구 기술의 발전과 함께 타자와의 전략 싸움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이후 현대 야구에서 당연시되는 투구 형태의 기원이 되었다.
 
또한, AA파울 바운드 캐치(foul bound catch)’를 폐지하였다. 이는 파울 볼이 1바운드 된 상태로 포수나 야수가 잡을 경우 아웃으로 처리하던 규칙으로, 내셔널리그는 이미 1883년에 이 규칙을 폐지한 바 있다. AA가 이를 따라가며 리그 간의 경기 규칙 통일성이 강화되었다.
 

4. 장비 변화와 선수 처우 개선

 
1885년부터는 포수와 심판이 체스트 프로텍터를 착용하기 시작했다. 이는 당시 빠른 공과 거친 플레이로부터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이후 야구 장비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게 되었다.
 
또한, 배트의 일부분을 평평하게 만들 수 있도록 규정이 변경되었고, 배트의 아랫부분 18인치까지는 입자가 있는 물질(: 송진)을 발라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허용되었다. 이 역시 타격 시 안정성과 컨트롤을 높이기 위한 조치였다.
 

5. 시즌 팀 성적

 
순위승률게임차홈경기원정경기
1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St. Louis Browns)
79330.70544‍–‍1135‍–‍22
2신시내티 레드스타킹스
(Cincinnati Red Stockings)
63490.5621635‍–‍2128‍–‍28
3피츠버그 앨러게니스
(Pittsburgh Alleghenys)
56550.50522½37‍–‍1919‍–‍36
4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Philadelphia Athletics)
55570.4912433‍–‍2322‍–‍34
5브루클린 그레이스
(Brooklyn Grays)
53590.4732635‍–‍2218‍–‍37
5루이스빌 커널스
(Louisville Colonels)
53590.4732637‍–‍1916‍–‍40
7뉴욕 메트로폴리탄스
(New York Metropolitans)
44640.4073328‍–‍2416‍–‍40
8볼티모어 오리올스
(Baltimore Orioles)
41680.37636½29‍–‍2612‍–‍42

6. 시즌 선수 성적

 

1) 타격 부문 리더

  • 1885년 시즌 타격 부문에서 가장 빛난 선수는 루이빌 이클립스(Louisville Eclipse) 소속의 피트 브라우닝(Pete Browning)이었다. 그는 타율 .362를 기록하며 리그 타격왕에 올랐고, OPS(출루율 + 장타율) 부문에서도 .923으로 1위를 차지했다. 브라우닝은 정확한 컨택 능력과 함께 장타력까지 겸비한 전형적인 강타자로, 당시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 최고의 타자로 평가받았다.
  • 최다 안타 부문 역시 피트 브라우닝의 몫이었다. 그는 시즌 동안 174안타를 기록하며 2위 선수들과 큰 격차를 보였다. 이러한 기록은 그가 얼마나 꾸준하고 결정적인 순간에 강한 타자였는지를 잘 보여준다.
  • 홈런 부문에서는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Philadelphia Athletics)의 해리 스토비(Harry Stovey)13홈런으로 리그 최다 홈런을 기록했다. 이 시기는 홈런이 흔하지 않던 시대로, 두 자릿수 홈런 자체가 큰 의미를 가지던 시대였다. 스토비는 장타력과 민첩한 주루 능력을 모두 갖춘 선수로, 공격 전반에서 높은 기여도를 보였다.
  • 득점 부문에서도 해리 스토비가 130득점으로 1위를 차지하며 타자로서 전방위 활약을 증명했다. 이는 그가 단순히 홈런 타자에 그치지 않고, 팀 공격의 선봉장 역할을 맡았음을 보여주는 수치이다.
  • 타점 부문에서는 신시내티 레즈(Cincinnati Red Stockings)의 프랭크 페넬리(Frank Fennelly)89타점을 기록하며 리그 최다 타점을 기록했다. 중심타선에서 활약한 그는 득점권 상황에서 높은 집중력을 보이며 타점 생산 능력을 인정받았다.
 

2) 투수 부문 리더

  • 투수 부문에서는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St. Louis Browns)의 밥 캐루더스(Bob Caruthers)가 눈부신 활약을 펼쳤다. 그는 시즌 40승을 기록하며 리그 최다승 투수에 이름을 올렸다. 또한 평균자책점(ERA) 부문에서도 2.07의 안정적인 기록으로 1위를 차지하며 최고의 에이스임을 입증했다.
  • 탈삼진과 이닝 소화 능력 부문에서는 피츠버그 알레게니스(Pittsburgh Alleghenys)의 에드 모리스(Ed Morris)가 독보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는 298개의 삼진을 잡아내며 탈삼진 1위를 기록했고, 581이닝을 던지며 가장 많은 이닝을 소화한 투수가 되었다. 특히 시즌 내내 꾸준히 선발로 등판하며 팀의 마운드를 지탱한 그의 존재감은 매우 컸다.
  • 이와 더불어, WHIP(이닝당 출루 허용율) 부문에서도 에드 모리스는 0.964를 기록하며 리그 최고의 효율적인 투구를 선보였다. 이는 투수로서의 제구력과 상대 타자의 출루를 최소화하는 능력을 동시에 보여주는 지표이다.
  • 반면, 가장 많은 패배를 기록한 선수는 볼티모어 오리올스(Baltimore Orioles)의 하디 헨더슨(Hardie Henderson)이었다. 그는 시즌 동안 35패를 기록했다. 이는 팀 전력과 불운한 경기 흐름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 세이브 부문에서는 같은 볼티모어 소속의 토머스 번스(Thomas Burns)3세이브를 기록하며 해당 부문 1위를 차지했다. 당시 세이브는 공식 기록으로 간주되진 않았지만, 경기 후반 마무리 역할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이정표가 되었다.
 

5. 결론

 
1885년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 시즌은 단순한 리그 운영을 넘어서 야구 규칙과 전술의 진화, 리그 구조의 효율화를 동시에 이룬 해였다.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는 안정적인 팀 운영과 전력으로 리그 정상에 올랐고, 이후 내셔널리그 우승팀과의 챔피언십 시리즈에서도 큰 주목을 받았다. 무엇보다도 이 해는 어깨 위 투구의 공식 허용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통해 투수의 기술 발전에 결정적인 계기를 마련한 해로 기억될 만하다. 야구가 현대 스포츠로 진화해 가는 길목에서, 1885년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6.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참고자료] Baseball-Reference.com, Retrosheet.org, Society for American Baseball Research (SABR), Wikipedia “1885 Major League Baseball season”, 및 기타 미국 야구 역사 관련 공개 기록 자료

[Ortiz vs. Shamrock 3: The Final Chapter] 라이벌의 마지막 장, 케이블 시청률을 뒤흔든 밤

[Ortiz vs. Shamrock 3: The Final Chapter] 라이벌의 마지막 장 , 케이블 시청률을 뒤흔든 밤   1. 2006 년 10 월 10 일 : Ortiz vs. Shamrock 3: The Final Chapter   Or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