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6년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제5회 예선 : 1조(체코슬로바키아, 잉글랜드, 포르투갈, 키프로스)
1. 개요
1976년 유럽 축구 선수권대회(1976 UEFA European Football Championship) 예선 조별리그 1조는 체코슬로바키아, 잉글랜드, 포르투갈, 키프로스 이렇게 네 팀으로 구성되었다. 각 팀은 홈 앤 어웨이 방식의 라운드로빈(리그) 형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2. 경기 진행
【1974년 10월 30일】 잉글랜드 3-0 체코슬로바키아 [웸블리 스타디움, 런던]
- 72분: 채넌(Channon, 잉글랜드)
- 80분: 벨(Bell, 잉글랜드)
- 83분: 벨(Bell, 잉글랜드)
【1974년 11월 20일】 잉글랜드 0-0 포르투갈 [웸블리 스타디움, 런던]【1975년 4월 16일】 잉글랜드 5-0 키프로스 [웸블리 스타디움, 런던]
- 2분: 맥도날드(Macdonald, 잉글랜드)
- 35분: 맥도날드(Macdonald, 잉글랜드)
- 48분: 맥도날드(Macdonald, 잉글랜드)
- 53분: 맥도날드(Macdonald, 잉글랜드)
- 86분: 맥도날드(Macdonald, 잉글랜드)
【1975년 4월 20일】 체코슬로바키아 4-0 키프로스 [레텐스키 스타디온, 프라하]
- 10분: 파넨카(Panenka, 체코슬로바키아)
- 35분: 파넨카(Panenka, 체코슬로바키아)
- 50분: 파넨카(Panenka, 체코슬로바키아) - 페널티킥
- 78분: 마스니(Masný, 체코슬로바키아)
【1975년 4월 30일】 체코슬로바키아 5-0 포르투갈 [레텐스키 스타디온, 프라하]
- 11분: 비초프스키(Bičovský, 체코슬로바키아)
- 22분: 비초프스키(Bičovský, 체코슬로바키아)
- 25분: 네호다(Nehoda, 체코슬로바키아)
- 46분: 네호다(Nehoda, 체코슬로바키아)
- 52분: 페트라시(Petráš, 체코슬로바키아)
【1975년 5월 11일】 키프로스 0-1 잉글랜드 [치리온 스타디움, 리마솔]
- 6분: 키건(Keegan, 잉글랜드)
【1975년 6월 8일】 키프로스 0-2 포르투갈 [치리온 스타디움, 리마솔]
- 25분: 네네(Nené, 포르투갈)
- 87분: 모이뉴스(Moínhos, 포르투갈)
【1975년 10월 30일】 체코슬로바키아 2-1 잉글랜드 [테헬네 폴레, 브라티슬라바]
- 26분: 채넌(Channon, 잉글랜드)
- 45분: 네호다(Nehoda, 체코슬로바키아)
- 47분: 갈리스(Galis, 체코슬로바키아)
【1975년 11월 12일】 포르투갈 1-1 체코슬로바키아 [이스타디우 다스 안타스, 포르투]
- 7분: 온드루시(Ondruš, 체코슬로바키아)
- 8분: 네네(Nené, 포르투갈)
【1975년 11월 19일】 포르투갈 1-1 잉글랜드 [이스타디우 조세 알발라데, 리스본]
- 16분: 루이 로드리게스(Rui Rodrigues, 포르투갈)
- 42분: 채넌(Channon, 잉글랜드)
【1975년 11월 23일】 키프로스 0-3 체코슬로바키아 [치리온 스타디움, 리마솔]
- 9분: 네호다(Nehoda, 체코슬로바키아)
- 27분: 비초프스키(Bičovský, 체코슬로바키아)
- 33분: 마스니(Masný, 체코슬로바키아)
【1975년 12월 3일】 포르투갈 1-0 키프로스 [이스타디우 두 본핌, 세투발]
- 20분: 알베스(Alves, 포르투갈)
3. 최종 순위
4. 득점자 명단
- 5골
- 말콤 맥도널드 (Malcolm Macdonald, 잉글랜드)
- 4골
- 즈데넥 네호다 (Zdeněk Nehoda, 체코슬로바키아)
- 3골
- 프르셈슬 비초프스키 (Přemysl Bičovský, 체코슬로바키아)
- 안토닌 파넨카 (Antonín Panenka, 체코슬로바키아)
- 믹 채넌 (Mick Channon, 잉글랜드)
- 2골
- 마리안 마스니 (Marián Masný, 체코슬로바키아)
- 콜린 벨 (Colin Bell, 잉글랜드)
- 네네 (Nené, 포르투갈)
- 1골
- 주앙 헤젠드 알베스 (João Resende Alves, 포르투갈)
- 마리우 모이뉴스 (Mário Moinhos, 포르투갈)
- 루이 로드리게스 (Rui Rodrigues, 포르투갈)
- 케빈 키건 (Kevin Keegan, 잉글랜드)
- 두샨 갈리시 (Dušan Galis, 체코슬로바키아)
- 안톤 온드루시 (Anton Ondruš, 체코슬로바키아)
- 라디슬라프 페트라슈 (Ladislav Petráš, 체코슬로바키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