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7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제14회(아르헨티나) : 아르헨티나 우승[5]
1. 대회 개요
1937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제14회)는 아르헨티나에서 개최되었는데, 볼리비아와 콜롬비아의 불참에도 불구하고 여섯 팀(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파라과이, 페루, 우루과이)가 참가하였다. 이 대회에서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이 4승 1패(승점 8점)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플레이오프로 우승팀을 결정하게 되어 경기를 치른 결과 아르헨티나가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2-0으로 브라질을 제압하고 우승을 차지하였다.
30년대로 넘어오면서 우루과이와 아르헨티나의 양강 구도에 브라질이 서서히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는 것을 엿볼수 있다.
- 대회기간 : 1936년 12월 27일 ~ 1937년 2월 1일
- 개최국 : 아르헨티나
- 참가국 : 아르헨티나, 브라질, 우루과이, 파라과이, 칠레, 페루
- 우승국 : 아르헨티나
- 총득점 : 16경기 69골 (평균 4.31골)
- 득점왕 : 라울 토로(Raúl Toro, 칠레) - 7골
2. 경기 요약
【1936년 12월 27일】 브라질 3–2 페루
- [1-0] 07분 : 로베르토(Roberto, 브라질)
- [2-0] 30분 : 아폰신호(Afonsinho, 브라질)
- [2-1] 55분 : 테오도로 페르난데스(Teodoro Fernández, 페루)
- [3-1] 57분 : 니지냐(Niginho, 브라질)
- [3-2] 58분 : 비야누에바(Villanueva, 페루)
【1936년 12월 30일】 아르헨티나 2–1 칠레
- [1-0] 30분 : 바랄로(Varallo, 아르헨티나)
- [2-0] 43분 : 바랄로(Varallo, 아르헨티나)
- [2-1] 73분 : 토로(Toro, 칠레)
【1937년 1월 2일】 파라과이 4–2 우루과이
- [1-0] 09분 : A. 오르테가(A. Ortega, 파라과이)
- [1-1] 16분 : 바렐라(Varela, 우루과이)
- [1-2] 28분 : 바렐라(Varela, 우루과이)
- [2-2] 35분 : A. 곤살레스(A. González, 파라과이)
- [3-2] 38분 : 에리코(Erico, 파라과이) - 페널티킥
- [4-2] 79분 : A. 오르테가(A. Ortega, 파라과이)
【1937년 1월 3일】 브라질 6–4 칠레
- [1-0] 02분 : 파트에스코(Patesko, 브라질)
- [2-0] 06분 : 카르발료 레이치(Carvalho Leite, 브라질)
- [2-1] 19분 : 아벤다뇨(Avendaño, 칠레)
- [2-2] 25분 : 토로(Toro, 칠레)
- [3-2] 26분 : 파트에스코(Patesko, 브라질)
- [4-2] 30분 : 루이스이뇨(Luisinho, 브라질)
- [5-2] 35분 : 루이스이뇨(Luisinho, 브라질)
- [5-3] 40분 : 리베로스(Riveros, 칠레)
- [6-3] 68분 : 로베르토(Roberto, 브라질)
- [6-4] 73분 : 토로 (Toro, 칠레)
【1937년 1월 6일】 우루과이 4–2 페루
- [1-0] 16분 : 카마이티(Camaití, 우루과이)
- [1-1] 29분 : 테오도로 페르난데스(Teodoro Fernández, 페루)
- [2-1] 31분 : 바렐라(Varela, 우루과이)
- [2-2] 40분 : 마갈라네스(Magallanes, 페루)
- [3-2] 56분 : 바렐라(Varela, 우루과이)
- [4-0] 79분 : 피리즈(Píriz, 우루과이)
【1937년 1월 9일】 아르헨티나 6–1 파라과이
- [1-0] 05분 : 스코펠리(Scopelli, 아르헨티나)
- [2-0] 08분 : 가르시아(García, 아르헨티나)
- [3-0] 33분 : 조자야(Zozaya, 아르헨티나)
- [4-0] 54분 : 스코펠리(Scopelli, 아르헨티나)
- [5-0] 75분 : 조자야(Zozaya, 아르헨티나)
- [6-0] 82분 : 조자야(Zozaya, 아르헨티나)
- [6-1] 86분 : A. 곤살레스(A. González, 파라과이)
【1937년 1월 10일】 칠레 3–0 우루과이
- [1-0] 17분 : 토로(Toro, 칠레)
- [2-0] 59분 : 아란시비아(Arancibia, 칠레)
- [3-0] 83분 : 토토(Toro, 칠레)
【1937년 1월 13일】 브라질 5–0 파라과이
- [1-0] 31분 : 파트에스코(Patesko, 브라질)
- [2-0] 42분 : 루이스이뇨(Luisinho, 브라질)
- [3-0] 51분 : 루이스이뇨(Luisinho, 브라질)
- [4-0] 59분 : 카르발료 레이치(Carvalho Leite, 브라질)
- [5-0] 67분 : 파트에스코(Patesko, 브라질)
【1937년 1월 16일】 아르헨티나 1–0 페루
- [1-0] 55분 : 조자야(Zozaya, 아르헨티나)
- 84분 : 퇴장당한 Sastre(아르헨티나) 대신에 Blotto(아르헨티나)가 교체되어 들어옴. 페루가 항의했지만 남미축구연맹(CONMEBOL)은 받아들이지 않았음
【1937년 1월 17일】 파라과이 3–2 칠레
- [1-0] 05분 : 아마릴랴(Amarilla, 파라과이)
- [1-1] 08분 : 토로(Toro, 칠레)
- [1-2] 32분 : 토로(Toro, 칠레)
- [2-2] 47분 : 플로르(Flor, 파라과이)
- [3-2] 78분 : 누녜스 벨로소(Núñez Velloso, 파라과이)
【1937년 1월 19일】 브라질 3–2 우루과이
- [0-1] 01분 : 비야돈리가(Villadoniga, 우루과이)
- [1-1] 36분 : 카르발료 레이치(Carvalho Leite, 브라질)
- [1-2] 66분 : 피리즈(Píriz, 우루과이)
- [2-2] 72분 : 바히아(Bahia, 브라질)
- [3-2] 77분 : 니지냐(Niginho, 브라질)
【1937년 1월 21일】 페루 2–2 칠레
- [1-0] 01분 : J. 알칼데(J. Alcalde, 페루)
- [1-1] 16분 : 토레스(Torres, 칠레)
- [2-1] 26분 : J. 알칼데(J. Alcalde, 페루)
- [2-2] 70분 : 아란시비아(Arancibia, 칠레)
【1937년 1월 23일】 우루과이 3–2 아르헨티나
- [1-0] 05분 : 이투르비데(Ithurbide, 우루과이)
- [2-0] 51분 : 피리즈(Píriz, 우루과이)
- [3-0] 58분 : 바렐라(Varela, 우루과이)
- [3-1] 63분 : 바랄로(Varallo, 아르헨티나)
- [3-2] 68분 : 조자야(Zozaya, 아르헨티나)
【1937년 1월 24일】 페루 1–0 파라과이
- [1-0] 84분 : 마갈라네스(Magallanes, 페루)
【1937년 1월 30일】 아르헨티나 1–0 브라질
- [1-0] 48분 : 가르시아(García, 아르헨티나)
【1937년 2월 1일】 아르헨티나 2–0 브라질 (Play-off 결승전)
- [1-0] 109분 : 드 라 마타(De la Mata, 아르헨티나)
- [2-0] 112분 : 드 라 마타(De la Mata, 아르헨티나)
3. 대회 성적
4. 득점자 명단
- 7골
라울 토로(Raúl Toro, 칠레) - 5골
알베르토 조자야(Alberto Zozaya, 아르헨티나)
세베리노 바렐라(Severino Varela, 우루과이) - 4골
루이스이뇨(Luisinho, 브라질)
파트에스코(Patesko, 브라질) - 3골
프란시스코 바랄로(Francisco Varallo, 아르헨티나)
카르발료 레이치(Carvalho Leite, 브라질)
후안 피리즈(Juan Píriz, 우루과이) - 2골
비센테 데 라 마타(Vicente de la Mata, 아르헨티나)
엔리케 가르시아(Enrique García, 아르헨티나)
알레한드로 스코펠리(Alejandro Scopelli, 아르헨티나)
니지냐(Niginho, 브라질)
로베르토(Roberto, 브라질)
아우렐리오 곤살레스(Aurelio González, 파라과이)
아마데오 오르테가(Amadeo Ortega, 파라과이)
테오도로 페르난데스(Teodoro Fernández, 페루)
호르헤 알칼데(Jorge Alcalde, 페루) - 1골
아폰신호(Afonsinho, 브라질)
바히아(Bahia, 브라질)
마누엘 아란시비아(Manuel Arancibia, 칠레)
호세 아벤다뇨(José Avendaño, 칠레)
아르투로 카르모나(Arturo Carmona, 칠레)
기예르모 리베로스(Guillermo Riveros, 칠레)
기예르모 토레스(Guillermo Torres, 칠레)
후안 아마릴랴(Juan Amarilla, 파라과이)
아돌포 에리코(Adolfo Erico, 파라과이)
마르틴 플로르(Martín Flor, 파라과이)
라울 누녜스 벨로소(Raúl Núñez Velloso, 파라과이)
알레한드로 비야누에바(Alejandro Villanueva, 페루)
아돌포 마갈라네스(Adolfo Magallanes, 페루)
호세 마리아 라바예(José María Lavalle, 페루)
아델라이도 카마이티(Adelaido Camaití, 우루과이)
에두아르도 이투르비데(Eduardo Ithurbide, 우루과이)
세군도 비야돈이가(Segundo Villadóniga, 우루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