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7년] 메이저리그 : 페넌트레이스 : 시카고 화이트삭스(AL), 뉴욕 자이언츠(NL)
1. 1917년 메이저리그 개요
1917년 메이저리그 베이스볼 시즌은 1917년 4월 11일에 개막해서 10월 4일에 종료되었다. 아메리칸리그의 정규 시즌은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우승으로 끝났으며, 내셔널리그의 정규 시즌은 뉴욕 자이언츠의 우승으로 끝났다.
1917년 월드시리즈는 10월 7일부터 15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아메리칸리그 챔피언인 시카고 화이트삭스가 내셔널리그 챔피언 뉴욕 자이언츠에게 4승 2패로 승리하였다.
2. 아메리칸리그
1) 팀 성적
2) 선수 성적
타격 부문
- 타율(AVG) : 타이 콥 (Ty Cobb,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0.383
- OPS : 타이 콥 (Ty Cobb,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1.014
- 홈런(HR) : 월리 핍 (Wally Pipp, 뉴욕 양키스) - 9
- 타점(RBI) : 바비 비치 (Bobby Veach,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110
- 득점(R) : 도니 부시 (Donie Bush,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112
- 안타(H) : 타이 콥 (Ty Cobb,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225
- 도루(SB) : 타이 콥 (Ty Cobb,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55
투수 부문
- 다승(W) : 에디 시콧 (Eddie Cicotte, 시카고 화이트삭스) - 28
- 최다 패(L) : 밥 그룸 (Bob Groom,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 앨런 소소론 (Allen Sothoron,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 19패
- 평균자책점(ERA) : 에디 시콧 (Eddie Cicotte, 시카고 화이트삭스) - 1.53
- 탈삼진(K) : 월터 존슨 (Walter Johnson, 워싱턴 세너터스) - 188
- 이닝(IP) : 에디 시콧 (Eddie Cicotte, 시카고 화이트삭스) - 346.2
- 세이브(SV) : 데이브 댄포스 (Dave Danforth, 시카고 화이트삭스) - 9
- WHIP : 에디 시콧 (Eddie Cicotte, 시카고 화이트삭스) - 0.912
3. 내셔널리그
1) 팀 성적
2) 선수 성적
타격 부문
- 타율(AVG) : 에드 라우시 (Edd Roush, 신시내티 레즈) - 0.341
- OPS : 로저스 혼스비 (Rogers Hornsby,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0.868
- 홈런(HR) : 개비 크라바스 (Gavvy Cravath, 필라델피아 필리스) / 데이브 로버트슨 (Dave Robertson, 뉴욕 자이언츠) - 12
- 타점(RBI) : 하이니 짐머맨 (Heinie Zimmerman, 뉴욕 자이언츠) - 100
- 득점(R) : 조지 번스 (George Burns, 뉴욕 자이언츠) - 103
- 안타(H) : 하이니 그로 (Heinie Groh, 신시내티 레즈) - 182
- 도루(SB) : 맥스 캐리 (Max Carey, 피츠버그 파이리츠) - 46
투수 부문
- 다승(W) : 그로버 알렉산더 (Grover Alexander, 필라델피아 필리스) - 30
- 최다 패(L) : 제시 반즈 (Jesse Barnes, 보스턴 브레이브스) / 에파 릭시 (Eppa Rixey, 필라델피아 필리스) - 21패
- 평균자책점(ERA) : 프레드 앤더슨 (Fred Anderson, 뉴욕 자이언츠) - 1.44
- 탈삼진(K) : 그로버 알렉산더 (Grover Alexander, 필라델피아 필리스) - 200
- 이닝(IP) : 그로버 알렉산더 (Grover Alexander, 필라델피아 필리스) - 388.0
- 세이브(SV) : 슬림 샐리 (Slim Sallee, 뉴욕 자이언츠) - 4
- WHIP : 프레드 앤더슨 (Fred Anderson, 뉴욕 자이언츠) - 0.963
4. 1917년 시즌 주요 사건
- 【4월 11일】
베이브 루스(Babe Ruth) – 보스턴 레드삭스 소속으로 뉴욕 양키스를 상대로 3피안타 완봉승, 개막전에서 1–0 승리. → 이 해 루스는 24승, 35완투(리그 1위)를 기록. - 【4월 14일】
에디 시콧(Eddie Cicotte) – 시카고 화이트삭스 소속으로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를 상대로 노히트노런. 점수 11–0. - 【4월 24일】
조지 모그리치(George Mogridge) – 뉴욕 양키스 소속으로 보스턴 레드삭스 상대로 2–1 노히트노런 달성. - 【5월 2일】
프레드 토니(Fred Toney) – 신시내티 레즈 소속으로 시카고 컵스 상대로 10이닝 노히트노런, 점수 1–0. 상대 투수 히포 본(Hippo Vaughn)도 9이닝 동안 노히트를 기록했으나 10회에 안타 허용. - 【5월 5일】
어니 쿠브(Ernie Koob) –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소속으로 시카고 화이트삭스 상대로 1–0 노히트노런 달성. - 【5월 6일】
밥 그룸(Bob Groom) – 쿠브의 팀 동료이자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소속. 더블헤더 2차전에서 3–0 노히트노런, 상대는 시카고 화이트삭스. - 【5월 7일】
베이브 루스(Babe Ruth) – 워싱턴 세너터스의 월터 존슨 (Walter Johnson)과 맞대결에서 1–0 완봉승. 유일한 득점은 루스 본인의 희생플라이 타점. - 【6월 23일】
어니 쇼어(Ernie Shore) – 보스턴 레드삭스 소속. 루스가 선발 등판했으나 첫 타자 레이 모건(Ray Morgan)에게 볼넷 후, 심판 브릭 오웬스(Brick Owens)와의 언쟁으로 퇴장. 쇼어가 구원 등판하여 모건을 도루사로 처리하고 나머지 26명 연속 아웃. ➝ 당시에는 퍼펙트 게임으로 간주되었으나, 현재는 결합 노히트노런으로 분류. - 【7월 6일】
타이 콥(Ty Cobb)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의 전설. 시카고 화이트삭스가 콥의 연속 안타 경기 기록을 35경기에서 종료시킴. - 【7월 15일】
행크 가우디(Hank Gowdy) – 보스턴 브레이브스의 포수. 오하이오 주방위군에 입대, 1차 세계대전 참전을 위해 자원한 첫 MLB 선수가 됨. - 【8월 28일】
트리스 스피커(Tris Speaker)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소속 외야수. 심판과의 언쟁으로 출전 정지, 팀의 우승 경쟁에 큰 타격. - 【10월 15일】
시카고 화이트삭스가 뉴욕 자이언츠를 월드시리즈 6차전에서 4–2로 꺾고 우승(시리즈 전적 4–2). ➝ 하지만 이후 1919년 블랙삭스 스캔들로 인해 팀은 해체 수준으로 약화되며, 이후 88년간 월드시리즈 우승 없음. 2005년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