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EFA 유로 2004] 제12회 예선 : 3조(체코,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몰도바, 벨라루스)
UEFA 유로 2004(UEFA Euro 2004) 예선은 2002년 9월부터 2003년 11월까지 진행되었다. 포르투갈은 개최국으로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50개의 팀들이 5개 팀씩 10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의 1위 팀은 본선에 직행하였고, 각 조의 2위 팀은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플레이오프 경기를 펼쳐 총 5개 팀을 가려내어 본선에 진출하였다.
예선 조별리그 3조에는 체코,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몰도바, 벨라루스가 포함되었다.
조별 경기가 모두 종료된 후, 두 팀 이상이 승점이 같을 경우 최종 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순서로 타이브레이커(동률 팀 간 순위 결정 기준)가 적용된다.
- 동률 팀 간의 승점
- 동률 팀 간의 골득실
- 동률 팀 간의 다득점
- 조별리그 전체 경기에서의 골득실
- 조별리그 전체 경기에서의 다득점
- 조별리그 전체에서 원정 다득점
- 조별리그 전체 경기에서의 페어플레이 점수 :
- 옐로카드 1장 : 1점
- 옐로카드 2장에 의한 퇴장 : 3점
- 직접 레드카드 : 3점
- 옐로카드 후 직접 레드카드 : 4점
- → 점수가 낮을수록 더 페어플레이로 간주되며 순위에서 유리
1. 경기 진행
【2002년 9월 7일】 오스트리아 2-0 몰도바 [에른스트-하펠-슈타디온, 빈]
- 4분: 헤르초크(Herzog, 오스트리아) (페널티킥)
- 30분: 헤르초크(Herzog, 오스트리아) (페널티킥)
【2002년 9월 7일】 네덜란드 3-0 벨라루스 [필립스 스타디온, 에인트호번]
- 35분: 다비즈(Davids, 네덜란드)
- 37분: 클라위베르트(Kluivert, 네덜란드)
- 73분: 하셀바인크(Hasselbaink, 네덜란드)
【2002년 10월 12일】 몰도바 0-2 체코 [스타디오눌 레푸블리칸, 키시너우]
- 69분: 얀쿨로프스키(Jankulovski, 체코) (페널티킥)
- 79분: 로시츠키(Rosický, 체코)
【2002년 10월 12일】 벨라루스 0-2 오스트리아 [디나모 스타디움, 민스크]
- 58분: 쇼프(Schopp, 오스트리아)
- 88분: 아카귄뒤즈(Akagündüz, 오스트리아)
【2002년 10월 16일】 체코 2-0 벨라루스 [나 스티나들레흐, 테플리체]
- 6분: 포보르스키(Poborský, 체코)
- 23분: 바로시(Baroš, 체코)
【2002년 10월 16일】 오스트리아 0-3 네덜란드 [에른스트-하펠-슈타디온, 빈]
- 15분: 시도르프(Seedorf, 네덜란드)
- 20분: 코쿠(Cocu, 네덜란드)
- 30분: 마카이(Makaay, 네덜란드)
【22003년 3월 29일】 벨라루스 2-1 몰도바 [디나모 스타디움, 민스크]
- 14분: 체보타리(Cebotari, 몰도바)
- 43분: 쿠투조프(Kutuzov, 벨라루스)
- 58분: 구렌코(Gurenko, 벨라루스)
【2003년 3월 29일】 네덜란드 1-1 체코 [더 카이프, 로테르담]
- 45분: 반 니스텔로이(Van Nistelrooy, 네덜란드)
- 68분: 콜러(Koller, 체코)
【2003년 4월 2일】 몰도바 1-2 네덜란드 [셰리프 스타디움, 티라스폴]
- 16분: 보레트(Boret, 몰도바)
- 37분: 반 니스텔로이(Van Nistelrooy, 네덜란드)
- 85분: 반 봄멜(Van Bommel, 네덜란드)
【2003년 4월 2일】 체코 4-0 오스트리아 [도요타 아레나, 프라하]
- 18분: 네드베드(Nedvěd, 체코)
- 32분: 콜러(Koller, 체코)
- 56분: 얀쿨로프스키(Jankulovski, 체코) (페널티킥)
- 62분: 콜러(Koller, 체코)
【2003년 6월 7일】 몰도바 1-0 오스트리아 [셰리프 스타디움, 티라스폴]
- 60분: 프룬자(Frunză, 몰도바)
【2003년 6월 7일】 벨라루스 0-2 네덜란드 [디나모 스타디움, 민스크]
- 61분: 오베르마르스(Overmars, 네덜란드)
- 68분: 클라위베르트(Kluivert, 네덜란드)
【2003년 6월 11일】 체코 5-0 몰도바 [안드루프 스타디온, 올로모우츠]
- 41분: 슈미체르(Šmicer, 체코)
- 73분: 콜러(Koller, 체코) (페널티킥)
- 82분: 슈타이네르(Štajner, 체코)
- 88분: 로크벤츠(Lokvenc, 체코)
- 90분: 로크벤츠(Lokvenc, 체코)
【2003년 6월 11일】 오스트리아 5-0 벨라루스 [티볼리 노이, 인스브루크]
- 33분: 아우프하우저(Aufhauser, 오스트리아)
- 47분: 하스(Haas, 오스트리아)
- 53분: 키르히러(Kirchler, 오스트리아)
- 62분: 발너(Wallner, 오스트리아)
- 70분: 체르니(Cerny, 오스트리아)
【2003년 9월 6일】 벨라루스 1-3 체코 [디나모 스타디움, 민스크]
- 14분: 불리가(Bulyha, 벨라루스)
- 37분: 네드베드(Nedvěd, 체코)
- 54분: 바로시(Baroš, 체코)
- 85분: 슈미체르(Šmicer, 체코)
【2003년 9월 6일】 네덜란드 3-1 오스트리아 [더 카이프, 로테르담]
- 29분: 반 더 바르트(Van der Vaart, 네덜란드)
- 32분: 포가테츠(Pogatetz, 오스트리아)
- 60분: 클라위베르트(Kluivert, 네덜란드)
- 62분: 코쿠(Cocu, 네덜란드)
【2003년 9월 10일】 몰도바 2-1 벨라루스 [셰리프 스타디움, 티라스폴]
- 26분: 다두(Dadu, 몰도바)
- 87분: 코발치우크(Covalciuc, 몰도바)
- 90분: 바실리욱(Vasilyuk, 벨라루스) (페널티킥)
【2003년 9월 10일】 체코 3-1 네덜란드 [도요타 아레나, 프라하]
- 14분: 콜러(Koller, 체코) (페널티킥)
- 37분: 포보르스키(Poborský, 체코)
- 60분: 반 더 바르트(Van der Vaart, 네덜란드)
- 90분: 바로시(Baroš, 체코)
【2003년 10월 11일】 오스트리아 2-3 체코 [에른스트-하펠-슈타디온, 빈]
- 26분: 얀쿨로프스키(Jankulovski, 체코)
- 49분: 하스(Haas, 오스트리아)
- 77분: 이반시츠(Ivanschitz, 오스트리아)
- 78분: 바호우세크(Vachoušek, 체코)
- 90분: 콜러(Koller, 체코)
【2003년 10월 11일】 네덜란드 5-0 몰도바 [필립스 스타디온, 에인트호번]
- 43분: 클라위베르트(Kluivert, 네덜란드)
- 50분: 스네이더(Sneijder, 네덜란드)
- 73분: 반 호이동크(Van Hooijdonk, 네덜란드) (페널티킥)
- 79분: 반 더 바르트(Van der Vaart, 네덜란드)
- 88분: 로벤(Robben, 네덜란드)
2. 최종 순위
3. 득점자 명단
- 6골
- 얀 콜레르 (Jan Koller, 체코)
- 4골
- 패트릭 클라위버르트 (Patrick Kluivert, 네덜란드)
- 3골
- 밀란 바로시 (Milan Baroš, 체코)
- 마렉 얀쿨로프스키 (Marek Jankulovski, 체코)
- 라파엘 판 데르 파르트 (Rafael van der Vaart, 네덜란드)
- 2골
- 마리오 하스 (Mario Haas, 오스트리아)
- 안디 헤어초크 (Andi Herzog, 오스트리아)
- 브라티슬라프 로크벤츠 (Vratislav Lokvenc, 체코)
- 파벨 네드베드 (Pavel Nedvěd, 체코)
- 카렐 포보르스키 (Karel Poborský, 체코)
- 블라디미르 슈미체르 (Vladimír Šmicer, 체코)
- 필립 코쿠 (Phillip Cocu, 네덜란드)
- 루드 판 니스텔로이 (Ruud van Nistelrooy, 네덜란드)
- 1골
- 무하메트 아카귄뒤즈 (Muhammet Akagündüz, 오스트리아)
- 레네 아우프하우저 (René Aufhauser, 오스트리아)
- 하랄트 체르니 (Harald Cerny, 오스트리아)
- 안드레아스 이반시츠 (Andreas Ivanschitz, 오스트리아)
- 롤란트 키르흘러 (Roland Kirchler, 오스트리아)
- 에마누엘 포가테츠 (Emanuel Pogatetz, 오스트리아)
- 마르쿠스 쇼프 (Markus Schopp, 오스트리아)
- 로만 발트너 (Roman Wallner, 오스트리아)
- 비탈리 불리가 (Vital Bulyga, 벨라루스)
- 세르게이 구렌코 (Sergei Gurenko, 벨라루스)
- 비탈리 쿠투조프 (Vitali Kutuzov, 벨라루스)
- 라만 바실류크 (Raman Vasilyuk, 벨라루스)
- 토마시 로시츠키 (Tomáš Rosický, 체코)
- 이리 슈타이너 (Jiří Štajner, 체코)
- 슈테판 바호우셰크 (Štěpán Vachoušek, 체코)
- 바딤 보레츠 (Vadim Boreț, 몰도바)
- 보리스 체보타리 (Boris Cebotari, 몰도바)
- 세르게이 코발추크 (Serghei Covalciuc, 몰도바)
- 세르지우 다두 (Sergiu Dadu, 몰도바)
- 비오렐 프룬저 (Viorel Frunză, 몰도바)
- 에드가르 다비즈 (Edgar Davids, 네덜란드)
- 지미 플로이드 하셀바잉크 (Jimmy Floyd Hasselbaink, 네덜란드)
- 로이 마카이 (Roy Makaay, 네덜란드)
- 마르크 오베르마르스 (Marc Overmars, 네덜란드)
- 아르연 로번 (Arjen Robben, 네덜란드)
- 클라렌스 세도로프 (Clarence Seedorf, 네덜란드)
- 베슬리 스네이더르 (Wesley Sneijder, 네덜란드)
- 마크 판 보멜 (Mark van Bommel, 네덜란드)
- 피에르 판 호이돈크 (Pierre van Hooijdonk, 네덜란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