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EFA 유로 2000] 제11회(벨기에ㆍ네덜란드) : 프랑스(2회)
‘UEFA 유로 2000’은 2000년 6월 10일부터 7월 2일까지 벨기에와 네덜란드에서 개최되었다. UEFA 집행위원회는 1995년 7월 14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회의에서 벨기에와 네덜란드를 UEFA 유로 2000 공동 개최국으로 선정했다.
예선은 1998년부터 1999년까지 진행되었다. 49개 팀이 9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각 팀과 경기를 치렀다. 각 조의 1위 팀과 2위 팀 가운데 가장 좋은 성적을 기록한 팀은 바로 본선 진출을 하였고, 나머지 8개 조의 2위 팀은 두 팀씩 묶어 두 팀끼리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플레이오프 경기를 펼쳐 총 4팀을 가려내어 본선에 진출하였다. 벨기에와 네덜란드는 공동 개최국으로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하였다(벨기에가 단독 개최 한 것은 28년 만이다).
이번 대회에는 총 2개의 팀이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하였는데, 노르웨이, 슬로베니아가 그들이다. 이들 중 슬로베니아는 유고슬라비아에서 분리된 이후 처음으로 출전하였다.
[본선 참가팀]
- 1조 : 1위 이탈리아 ☞ 바로가기
- 2조 : 1위 노르웨이 ☞ 바로가기
- 3조 : 1위 독일 ☞ 바로가기
- 4조 : 1위 프랑스 ☞ 바로가기
- 5조 : 1위 스웨덴 ☞ 바로가기
- 6조 : 1위 스페인 ☞ 바로가기
- 7조 : 1위 루마니아 ☞ 바로가기
- 8조 : 1위 유고슬라비아 ☞ 바로가기
- 9조 : 1위 체코 ☞ 바로가기
- 플레이오프 : 포르투갈, 잉글랜드, 덴마크, 슬로베니아, 튀르키예 ☞ 바로가기
[대회 개요]
- 기간 : 2000년 6월 10일 ~ 7월 2일
- 우승 : 프랑스(2회)
- 준우승 : 이탈리아
- 경기수 : 31경기
- 득점수 : 85골(경기당 평균 2.74골)
- 득점왕 : 파트릭 클라위버르트(Patrick Kluivert, 네덜란드), 사보 밀로셰비치(Savo Milošević, 유고슬라비아) - 5골
- 최우수 선수 : 지네딘 지단(Zinedine Zidane, 프랑스)
1. 조별 리그
1) A조 : 포르투갈, 루마니아, 잉글랜드, 독일
이번 대회에서 가장 큰 놀라움 중 하나는 포르투갈이었는데, 조별리그 A조에서 전승(3승)으로 1위를 차지했다. 특히 독일을 상대로 3–0 완승을 거두었으며, 이 경기에서 세르지우 콘세이상(Sérgio Conceição)이 해트트릭을 기록하였다. 또 잉글랜드와의 경기에서는 0–2로 뒤지다가 3–2로 역전승을 거두었다. 루마니아는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잉글랜드를 상대로 후반 막판 페널티킥으로 승리하며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2000년 6월 12일】 독일 1-1 루마니아 [스타드 모리스 뒤프라스네, 리에주]
- 5분: 몰도반(Moldovan, 루마니아)
- 28분: 숄(Scholl, 독일)
【2000년 6월 12일】 포르투갈 3-2 잉글랜드 [필립스 스타디온, 에인트호번]
- 3분: 스콜스(Scholes, 잉글랜드)
- 18분: 맥마나만(McManaman, 잉글랜드)
- 22분: 피구(Figo, 포르투갈)
- 37분: 주앙 핀투(João Pinto, 포르투갈)
- 59분: 누누 고메스(Nuno Gomes, 포르투갈)
【2000년 6월 17일】 루마니아 0-1 포르투갈 [헬레돔, 아른험]
- 90+4분: 코스티냐(Costinha, 포르투갈)
【2000년 6월 17일】 잉글랜드 1-0 독일 [스타드 뒤 페이 드 샤를루아, 샤를루아]
- 53분: 시어러(Shearer, 잉글랜드)
【2000년 6월 20일】 잉글랜드 2-3 루마니아 [스타드 뒤 페이 드 샤를루아, 샤를루아]
- 22분: 키부(Chivu, 루마니아)
- 41분: 시어러(Shearer, 잉글랜드) (페널티킥)
- 45분: 오웬(Owen, 잉글랜드)
- 48분: 문테아누(Munteanu, 루마니아)
- 89분: 가네아(Ganea, 루마니아) (페널티킥)
【2000년 6월 20일】 포르투갈 3-0 독일 [페예노르트 스타디온, 로테르담]
- 35분: 콘세이송(Conceição, 포르투갈)
- 54분: 콘세이송(Conceição, 포르투갈)
- 71분: 콘세이송(Conceição, 포르투갈)
2) B조 : 이탈리아, 터키, 벨기에, 스웨덴
벨기에는 개최국임에도 불구하고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 이변을 겪었다. 첫 경기에서 스웨덴을 이겼지만, 이후 튀르키예와 이탈리아에게 연패하면서 조 3위로 마감했다.
【2000년 6월 10일】 벨기에 2-1 스웨덴 [킹 보두앵 스타디움, 브뤼셀]
- 43분: 고어(Goor, 벨기에)
- 46분: 에. 음펜자(É. Mpenza, 벨기에)
- 53분: 미엘비(Mjällby, 스웨덴)
【2000년 6월 11일】 터키 1-2 이탈리아 [헬레돔, 아른험]
- 52분: 콘테(Conte, 이탈리아)
- 62분: 부루크(Buruk, 터키)
- 70분: 인차기(Inzaghi, 이탈리아) (페널티킥)
【2000년 6월 14일】 이탈리아 2-0 벨기에 [킹 보두앵 스타디움, 브뤼셀]
- 6분: 토티(Totti, 이탈리아)
- 66분: 피오레(Fiore, 이탈리아)
- 영국 BBC의 축구 프로그램 Match of the Day에서는 이탈리아의 스테파노 피오레(Stefano Fiore)가 벨기에를 상대로 넣은 골이 대회 최고의 골로 선정되었다.
【2000년 6월 15일】 스웨덴 0-0 터키 [필립스 스타디온, 에인트호번]【22000년 6월 19일】 터키 2-0 벨기에 [킹 보두앵 스타디움, 브뤼셀]
- 45+2분: 쉬퀴르(Şükür, 터키)
- 70분: 쉬퀴르(Şükür, 터키)
【2000년 6월 19일】 이탈리아 2-1 스웨덴 [필립스 스타디온, 에인트호번]
- 39분: 디 비아지오(Di Biagio, 이탈리아)
- 77분: 라르손(Larsson, 스웨덴)
- 88분: 델 피에로(Del Piero, 이탈리아)
3) C조 : 스페인, 유고슬라비아, 노르웨이, 슬로베니아
C조에서는 유고슬라비아와 스페인의 경기가 특히 인상적이었다. 스페인은 8강 진출을 위해 반드시 승리가 필요했지만, 경기 75분경 슬로보다 콤르레노비치(Slobodan Komljenović)의 골로 2–3으로 리드를 허용하였다. 하지만 스페인은 추가시간에만 2골을 넣으며 극적으로 4–3 역전승을 거두고 8강에 진출하였다. 유고슬라비아는 이 경기에서 패했지만, 노르웨이와 슬로베니아가 무승부를 기록하면서 함께 8강에 진출할 수 있었다.
【2000년 6월 13일】 스페인 0-1 노르웨이 [페예노르트 스타디온, 로테르담]
- 65분: 이베르센(Iversen, 노르웨이)
【2000년 6월 13일】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3-3 슬로베니아 [스타드 뒤 페이 드 샤를루아, 샤를루아]
- 23분: 자호비치(Zahovič, 슬로베니아)
- 52분: 파블린(Pavlin, 슬로베니아)
- 57분: 자호비치(Zahovič, 슬로베니아)
- 67분: 밀로셰비치(Milošević,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70분: 드룰로비치(Drulović,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73분: 밀로셰비치(Milošević,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2000년 6월 18일】 슬로베니아 1-2 스페인 [암스테르담 아레나, 암스테르담]
- 4분: 라울(Raúl, 스페인)
- 59분: 자호비치(Zahovič, 슬로베니아)
- 60분: 에체베리아(Etxeberria, 스페인)
【2000년 6월 18일】 노르웨이 0-1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스타드 모리스 뒤프라스네, 리에주]
- 8분: 밀로셰비치(Milošević,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2000년 6월 21일】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3-4 스페인 [얀 브레이델 스타디움, 브뤼허]
- 30분: 밀로셰비치(Milošević,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38분: 알폰소(Alfonso, 스페인)
- 50분: 고베다리카(Govedarica,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51분: 무니티스(Munitis, 스페인)
- 75분: 콤리예노비치(Komljenović,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90+4분: 멘디에타(Mendieta, 스페인)
- 90+5분: 알폰소(Alfonso, 스페인) (페널티킥)
【2000년 6월 21일】 슬로베니아 0-0 노르웨이 [헬레돔, 아른험]
4) D조 : 네덜란드, 프랑스, 체코, 덴마크
공동 개최국인 네덜란드는 D조에서 프랑스와 함께 무난히 8강에 진출했다. 조 1위를 결정짓는 마지막 경기에서 네덜란드는 프랑스를 꺾었다. 한편, D조에 속했던 덴마크는 3전 전패, 8실점 무득점이라는 기록으로 유로 대회 조별리그 역사상 최악의 성적을 남기게 되었다.
【2000년 6월 11일】 프랑스 3-0 덴마크 [얀 브레이델 스타디움, 브뤼허]
- 16분: 블랑(Blanc, 프랑스)
- 64분: 앙리(Henry, 프랑스)
- 90+2분: 윌토르(Wiltord, 프랑스)
【2000년 6월 11일】 네덜란드 1-0 체코 [암스테르담 아레나, 암스테르담]
- 89분: F. 더 부르(F. de Boer, 네덜란드) (페널티킥)
【2000년 6월 16일】 체코 1-2 프랑스 [얀 브레이델 스타디움, 브뤼허]
- 7분: 앙리(Henry, 프랑스)
- 35분: 포보르스키(Poborský, 체코) (페널티킥)
- 60분: 조르카예프(Djorkaeff, 프랑스)
【2000년 6월 16일】 덴마크 0-3 네덜란드 [페예노르트 스타디온, 로테르담]
- 57분: 클라위베르트(Kluivert, 네덜란드)
- 66분: R. 더 부르(R. de Boer, 네덜란드)
- 77분: 젠던(Zenden, 네덜란드)
【2000년 6월 21일】 덴마크 0-2 체코 [스타드 모리스 뒤프라스네, 리에주]
- 64분: 슈미체르(Šmicer, 체코)
- 67분: 슈미체르(Šmicer, 체코)
【2000년 6월 21일】 프랑스 2-3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아레나, 암스테르담]
- 8분: 뒤가리(Dugarry, 프랑스)
- 14분: 클라위베르트(Kluivert, 네덜란드)
- 31분: 트레제게(Trezeguet, 프랑스)
- 51분: F. 더 부르(F. de Boer, 네덜란드)
- 59분: 젠던(Zenden, 네덜란드)
2. 8강전
1) 터키 vs 포르투갈
【2000년 6월 24일】 포르투갈 2-0 터키 [암스테르담 아레나, 암스테르담]
- 44분: 누누 고메스(Nuno Gomes, 포르투갈)
- 56분: 누누 고메스(Nuno Gomes, 포르투갈)
2) 이탈리아 vs 루마니아
【2000년 6월 24일】 이탈리아 2-0 루마니아 [킹 보두앵 스타디움, 브뤼셀]
- 33분: 토티(Totti, 이탈리아)
- 43분: 인차기(Inzaghi, 이탈리아)
3) 네덜란드 vs 유고슬라비아
【2000년 6월 25일】 네덜란드 6-1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페예노르트 스타디온, 로테르담]
- 24분: 클라위베르트(Kluivert, 네덜란드)
- 38분: 클라위베르트(Kluivert, 네덜란드)
- 51분: 고베다리카(Govedarica,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자책골)
- 54분: 클라위베르트(Kluivert, 네덜란드)
- 78분: 오베르마르스(Overmars, 네덜란드)
- 90+1분: 오베르마르스(Overmars, 네덜란드)
- 90+2분: 밀로셰비치(Milošević,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4) 스페인 vs 프랑스
스페인은 프랑스에 1–2로 패배하였다. 이 경기에서 라울(Raúl)은 경기 막판 페널티킥을 실축하며 스페인에게 아쉬움을 안겨주었다.
【2000년 6월 25일】 스페인 1-2 프랑스 [얀 브레이델 스타디움, 브뤼허]
- 32분: 지단(Zidane, 프랑스)
- 38분: 멘디에타(Mendieta, 스페인) (페널티킥)
- 44분: 조르카예프(Djorkaeff, 프랑스)
3. 준결승전
1) 포르투갈 vs 프랑스
프랑스는 포르투갈을 연장전 끝에 2–1로 이겼다. 누누 고메스(Nuno Gomes)가 전반 19분에 포르투갈에 선제골을 안겨주었고, 포르투갈은 그 리드를 전반 종료 직후까지 유지하였다. 하지만 후반에 티에리 앙리(Thierry Henry)가 동점골을 넣으며 경기를 원점으로 되돌렸고, 경기는 연장전으로 돌입했다. 승부차기로 갈 것으로 보이던 경기에서 지네딘 지단(Zinedine Zidane)이 연장 117분에 골든골을 터뜨리며 프랑스가 승리를 거뒀다. 포르투갈 선수들은 핸드볼 판정에 강하게 항의했고, 주심을 밀치는 등의 행동으로 인해 여러 명이 장기간 출장 정지를 당했다.
【2000년 6월 28일】 프랑스 2-1 (연장전/골든골) 포르투갈 [킹 보두앵 스타디움, 브뤼셀]
- 19분: 누누 고메스(Nuno Gomes, 포르투갈)
- 51분: 앙리(Henry, 프랑스)
- 117분: 지단(Zidane, 프랑스) (페널티킥, 골든골)
2) 이탈리아 vs 네덜란드
이탈리아는 준결승에서 네덜란드를 탈락시켰는데, 퇴장으로 인해 10명이 싸우고 페널티킥도 두 차례나 내줬음에도 불구하고 승리했다. 주전 골키퍼 잔루이지 부폰이 부상으로 결장하면서 출전하게 된 프란체스코 톨도(Francesco Toldo)는 정규 시간 중의 페널티킥을 포함해, 승부차기에서 두 개의 페널티킥을 막아내며 이탈리아를 결승으로 이끌었다.
정규 시간 중 네덜란드는 두 개의 페널티킥을 얻었는데 프랑크 더 부어(Frank de Boer)의 페널티킥은 이탈리아 골키퍼에게 막혔고, 클라위버르트(Kluivert)의 슈팅은 골대를 맞췄다.
승부차기에서는 4번 중 3번을 실패했는데, 특히 야프 스탐(Jaap Stam)의 슈팅은 크로스바 훨씬 위로 날아가며, BBC에서는 이를 “역대 최악의 페널티킥 중 하나”라고 평했다.
【2000년 6월 29일】 이탈리아 0-0 (연장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아레나, 암스테르담]승부차기: 3-1
- 이탈리아 : 디 비아지오 (성공)
- 네덜란드 : F. 더 부르 (실패)
- 이탈리아 : 페소토 (성공)
- 네덜란드 : 스탐 (실패)
- 이탈리아 : 토티 (성공)
- 네덜란드 : 클라위베르트 (성공)
- 이탈리아 : 말디니 (실패)
- 네덜란드 : 보스펠트 (실패)
4. 결승전 : 프랑스 vs 이탈리아
결승전에서 프랑스는 이탈리아를 상대로 1–2 승리를 거두며 유럽 챔피언에 등극했다. 정규 시간 종료 직전 극적인 동점골을 넣은 후, 다비드 트레제게(David Trezeguet)가 연장전에서 골든골을 터뜨리며 우승을 확정지었다. 이로써 프랑스는 월드컵 우승국으로서 유럽 챔피언십까지 석권한 첫 번째 팀이 되었다.
【2000년 7월 2일】 프랑스 2-1 (연장전/골든골) 이탈리아 [더 카이프, 로테르담]
- 55분: 델베키오(Delvecchio, 이탈리아)
- 90+4분: 윌토르(Wiltord, 프랑스)
- 103분: 트레제게(Trezeguet, 프랑스) (골든골)
5. 득점자 명단
- 5골
- 사보 밀로세비치 (Savo Milošević, 유고슬라비아 연방)
- 패트릭 클라위버르트 (Patrick Kluivert, 네덜란드)
- 4골
- 누누 고메스 (Nuno Gomes, 포르투갈)
- 3골
- 티에리 앙리 (Thierry Henry, 프랑스)
- 세르지우 콘세이상 (Sérgio Conceição, 포르투갈)
- 즐라트코 자호비치 (Zlatko Zahovič, 슬로베니아)
- 2골
- 블라디미르 슈미체르 (Vladimír Šmicer, 체코)
- 앨런 시어러 (Alan Shearer, 잉글랜드)
- 유리 조르카에프 (Youri Djorkaeff, 프랑스)
- 다비드 트레제게 (David Trezeguet, 프랑스)
- 실뱅 윌토르 (Sylvain Wiltord, 프랑스)
- 지네딘 지단 (Zinedine Zidane, 프랑스)
- 필리포 인차기 (Filippo Inzaghi, 이탈리아)
- 프란체스코 토티 (Francesco Totti, 이탈리아)
- 프랑크 더 부어 (Frank de Boer, 네덜란드)
- 마르크 오베르마르스 (Marc Overmars, 네덜란드)
- 보우더웨인 젠덴 (Boudewijn Zenden, 네덜란드)
- 알폰소 (Alfonso, 스페인)
- 가이스카 멘디에타 (Gaizka Mendieta, 스페인)
- 하칸 슈퀴르 (Hakan Şükür, 튀르키예)
- 1골
- 바르트 후르 (Bart Goor, 벨기에)
- 에밀 음펜자 (Émile Mpenza, 벨기에)
- 카렐 포보르스키 (Karel Poborský, 체코)
- 스티브 맥마나먼 (Steve McManaman, 잉글랜드)
- 마이클 오언 (Michael Owen, 잉글랜드)
- 폴 스콜스 (Paul Scholes, 잉글랜드)
- 류빈코 드룰로비치 (Ljubinko Drulović, 유고슬라비아 연방)
- 데얀 고베다리차 (Dejan Govedarica, 유고슬라비아 연방)
- 슬로보단 콤르레노비치 (Slobodan Komljenović, 유고슬라비아 연방)
- 로랑 블랑 (Laurent Blanc, 프랑스)
- 크리스토프 뒤가리 (Christophe Dugarry, 프랑스)
- 메흐메트 숄 (Mehmet Scholl, 독일)
- 안토니오 콘테 (Antonio Conte, 이탈리아)
-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 (Alessandro Del Piero, 이탈리아)
- 마르코 델베키오 (Marco Delvecchio, 이탈리아)
- 루이지 디 비아조 (Luigi Di Biagio, 이탈리아)
- 스테파노 피오레 (Stefano Fiore, 이탈리아)
- 로날트 더 부어 (Ronald de Boer, 네덜란드)
- 스테펜 이베르센 (Steffen Iversen, 노르웨이)
- 코스티냐 (Costinha, 포르투갈)
- 루이스 피구 (Luís Figo, 포르투갈)
- 조앙 핀투 (João Pinto, 포르투갈)
- 크리스티안 치부 (Cristian Chivu, 루마니아)
- 이오넬 가네아 (Ionel Ganea, 루마니아)
- 비오렐 몰도반 (Viorel Moldovan, 루마니아)
- 도리넬 문테아누 (Dorinel Munteanu, 루마니아)
- 미란 파블린 (Miran Pavlin, 슬로베니아)
- 조세바 에체베리아 (Joseba Etxeberria, 스페인)
- 페드로 무니티스 (Pedro Munitis, 스페인)
- 라울 (Raúl, 스페인)
- 헨리크 라르손 (Henrik Larsson, 스웨덴)
- 요한 므얄비 (Johan Mjällby, 스웨덴)
- 오칸 부룩 (Okan Buruk, 튀르키예)
- 1 자책골
- 데얀 고베다리차 (Dejan Govedarica, 유고슬라비아 연방, 네덜란드전)